2025.07.16 (수)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종합

수입 개방 앞둔 조사료 시장 정부…국내산 자급 확대 ‘드라이브’

미산 쿼터 폐지·환율 불안에 농가 생산비 급등 우려
논 조사료 확대·전문단지 조성 등 생산기반 확충 역점

[축산신문 서동휘 기자] 전 세계적 기후변화로 인해 사료작물 수급상황이 급변함에 따라 축산농가에 안정적인 조사료 공급이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소 사육 농가의 생산비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조사료. 하지만, 많은 양을 수입 건초에 의지하고 있어 국제 정세에 따라 농가의 경영악화로 이어지기 일쑤다. 다만 내년부터는 미국산 수입조사료에 대한 쿼터가 폐지돼 수입 조사료의 공급이 늘어날 것으로 점쳐지고 있지만, 수입개방 초기 조사료 시장이 혼란스러울 것으로 업계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조사료 쿼터가 없어지면 업체 간 경쟁으로 가격 안정화를 기대할 수 있지만, 환율 등 외부 변수로 인해 수입 조사료 가격이 오를 가능성도 크다”고 전망했다.

 

특히 현재 1천300원 후반대로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는 원/달러 환율이 부담이다. 수입 조사료의 사용 비중이 큰 축산농가들은 생산비가 더욱 높아지지 않을까 걱정이 클 수밖에 없다.

 

이에 농림축산식품부는 국내산 조사료 생산·이용을 보다 활성화해 수입 조사료의 상황과는 별개로 축산농가가 안정적인 생산비를 유지토록 한다는 계획을 수립, 관련 정책을 펼치고 있다.

 

농식품부는 올 한해 논 하계조사료 1만ha, 조사료전문단지 1천ha 확보 등을 통해 생산을 확대하고 생산과 소비 연계 강화를 위해 계약재배 등의 방법으로 축산·경종농가 연계를 강화하고 있다.
또 조사료 생산 확대를 위해 총체 벼·옥수수 등 하계조사료를 재배할 경우 ha당 500만원까지 보조하는 ‘논 하계조사료 전략작물직불사업’도 진행하고 있다. 조사료를 재배하는 농가의 소득이 벼 생산 농가의 평균 소득과 큰 차이가 없도록 하려는 취지서다.

 

이를 통해 수입 조사료에 대한 시장개방을 앞둔 상황(미국 2026년, 호주 2028년 등)에서 조사료가 무관세로 들어오기 전, 국내산 조사료의 생산 확대와 품질 강화를 하는 것이 목표다.

 

아울러 ‘조사료생산기반확충사업’에 올해만 총 856억5천200만원의 재정을 투입해 ▲조사료 사일리지 제조·운송비 ▲조사료 종자구입비 ▲조사료 전문단지 조성 ▲조사료 품질검사 및 등급제 ▲기계·장비 지원 ▲가공시설·유통센터 지원 ▲조사료 이용촉진비 등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조사료 전문단지 조성 활성화를 위해 ‘전략작물직불제 논 하계조사료 면적확보’ 및 ‘농촌특화지구(축산지구) 지정’ 사업 장려를 위한 가산점 항목을 신설했고, 하계조사료 이용촉진비 지원도 마련해 생산주체에서 품질등급제를 적용한(C등급 이상) 논 하계조사료(전략작물직불제 연계)를 연간 150톤 이상 구매할 경우 kg당 5원을 추가 지원한다. 이 밖에도 다수의 지원자격을 완화했으며, 행정효율을 위해 절차도 단순화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국내산 조사료 활성화를 위한 사업의 효과로 일부 지자체의 경우 국내산 조사료 사용 비중이 80%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다”면서 “사료비 등 축산농가 경영 부담 완화를 위해 앞으로도 국내산 조사료의 생산량을 늘리는 것은 물론 품질도 높여나갈 방침”이라고 했다.

 

축산신문, CHUKSANNEWS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