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양돈

<이일호 기자의 이런말, 저런생각>8대 방역시설 없어서 ASF 발생했나

[축산신문 이일호 기자]


수돗물을 직접 마시는 우리 국민들이 얼마나 될까. 

서울시의 경우 수돗물에 별도의 이름까지 붙여가며 ‘바로 마실수 있는 물’ 임을 강조하고 있지만 언제부터인가 정수기나 사먹는 물이 일상화된 우리 국민들의 생활을 바꾸기는 어려울 듯 싶다. 

뜬금없이 수돗물을 ‘소환’ 한 데는 이유가 있다.

영월 양돈장에서 발생한 ASF의 근본적인 원인을 농가의 책임에서 찾는 듯한 방역당국의 ‘언론 플레이’를 지적하기 위해서다.  

이번 양돈장 ASF 이후 8대 방역시설의 미흡을 강조하는 방역당국의 일관된 행보는 국민들 사이에 ‘ASF 발생원인=8대방역시설 부재’라는 프레임이 확산되는 배경이 되고 있다.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바이러스라면 진저리를 치고 있는 국민들의 입장에선 양돈, 나아가 축산업에 대한 거부감이 커질 수 밖에 없다.

그러나 현실은 다르다.

이번에 ASF가 발생한 영월 양돈장의 경우 1,2km~4.1km내에서 지난해 12월 28일부터 4월 8일까지 모두 11차례의 야생멧돼지 ASF가 검출된 것으로 확인됐다.

애당초 야생멧돼지에 ASF가 없었다면, 양돈장의 ASF 발생도 없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결국 야생멧돼지 ASF에 대한 방역정책의 실패가 근본적인 원인으로 작용했지만 방역당국은 야생멧돼지에 대해서는 언급 조차 하지 않고 있다.

그럴리 없고, 통하지도 않겠지만 수돗물이 오염돼 마실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했을 때 정수기 탓을 하는 것과 다를 게 없다는 생각이다.

물론 농가 차원에서 이뤄져야 할 방역의 필요성을 부인하는 것은 아니다.

내 농장을 지키기 위해서라도 농가에서 할 수 있는 노력은 다해야 한다. 일부 시설에 대한 현실성과 강제성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지만 8대 방역시설 역시 같은 맥락에서 접근해야 할 것이다. 만약 방역의 책임을 외면한다면 축산인으로서 자격이 없다.

다만 농가 차원의 방역에는 한계가 존재할 수 밖에 없는 현실도 직시해야 한다.

당장 정부가 요구하고 있는 8대 방역시설만 해도 그렇다. 바이러스를 연구하는 차폐시설 수준이 아닌 이상 완벽한 ASF 차단은 불가능하다. 농장 주변에 ASF가 창궐하는 상황이라면 위험성은 더 커질 수밖에 없다.

그런데도 농가의 책임만을 지적하는 방역당국의 행보는 정책의 실패를 은폐하고 여론의 화살을 피하려는 의도로 밖에 생각되지 않는다.

더구나 영월 ASF를 계기로 또 다시 양돈현장의 발을 묶는 규제만 쏟아내고 야생멧돼지 ASF 방역을 위한 추가적인 대책은 찾아볼 수 없는 현실 속에서 농가들의 불만은 극으로 치닫고 있는 실정이다. 농림축산식품부의 조직 개편 과정에서 축산국에서 분리, 확대된 방역정책국의 태생 자체가 잘못됐다는 지적까지 나오고 있을 정도다.

늦었지만 이제라도 달라져야 한다.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과감히 인정하는 노력 부터 시작해야 올바른 정책이 나올 수 있고 현장의 공감을 얻을 수 있다. 무엇보다 야생멧돼지와 사육돼지 ASF 방역 정책의 균형이 절실하다. 혹여 부처간의 행정성과만을 의식한 강박관념에 사로잡혀 왔다면 지금이라도 내려놓아야 할 것이다. 국민들에게 농식품부와 환경부는 똑같은 정부일 뿐이다. 


축산신문, CHUKSANNEWS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