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서동휘 기자]
“정부 수급안정 대책마련 선행돼야” 호소
계란유통업계가 태국산 계란 수입과 관련해 ‘정부 정책이 낳은 결과’라고 비판하고 나섰다.
고병원성 AI 발생으로 인해 계란부족현상이 장기화 되자 최근 민간업체들마저 계란수입을 추진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 과정에서 대한양계협회를 비롯한 국내 산란계 업계가 계란 수입의 주범으로 계란 유통상인들을 지목하고 나서자 계란유통업계는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정부의 AI방역정책으로 국내 시장에 계란 유통량이 절대 부족해져 유통업계도 고통을 겪고 있는 상황인데다, 계란의 수입문제는 지난 1월 20일 축산물 수급안정대책 추진계획이 공식 발표되면서 진행되는 정부의 정책때문이라는 주장이다.
한국계란선별포장유통협회(이하 계란유통협회)에 따르면 대다수의 계란 유통업체들은 거래하던 농장이 AI 확진, 또는 예방적 살처분이 시행된 탓에 AI에 피해를 입지 않은 산란계농가를 찾아 고시가보다 웃돈을 주더라도 계란을 집란, 거래처에 납품하고 있는 상황이다. 납품을 하고 있는 대형마트 등 거래처를 잃지 않기 위함이다. 거래처와의 계약된 물량에 대해 납품에 차질을 빚게 될 경우 미수금에 대한 회수 문제 등이 불거지는 것은 물론, 추후 계란시장이 정상화 되더라도 계약관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가 힘들기 때문이다.
한 계란유통업계 관계자는 “정부는 AI로 인해 계란 유통상인들이 집란이 불가해도, 산지 매입가격이 2배 가량 올라도, 매입자금이 부족해 은행에 빚을 내어도, 거래처를 잃어 부도가 나도 모르는체 할뿐”이라면서 “정부가 바라보는 유통인은 규제의 대상일 뿐이며, 산란계 산업의 한축으로 인정하는 모습은 전혀 없다. 더욱이 정부가 내놓은 잘못된 축산물 수급안정 정책이 최근 민간업체의 계란수입까지 초래했지만 모든 오명은 유통상인들의 몫”이라고 토로했다.
AI 발생과 산란계 농장의 예방적 살처분으로 하루아침에 거래처를 잃어버린 유통상인들이 납품계약이 체결돼 있는 마트 등에 물량을 맞추지 못해 입을 손해를 예상해 웃돈을 주고서라도 계란을 받아와 물량을 맞추기 위해 동분서주하고 있지만 쉽지 않은 상황이라 결국 일부 업체가 계란수입까지 추진하게 됐다는 것. 방역조치로 인한 살처분 시 농가는 부족하긴 하지만 보상체계가 존재하지만 계란부족으로 거래처에 납품을 하지 못해 생계에 지장을 받고 있는 유통인들은 어디서도 보상을 받을 길이 없다는 설명이다.
계란유통협회 관계자는 “계란의 수입문제는 정부의 보여주기식 수급안정 정책에서 파생된 문제”라면서 “정부가 지금까지 4천400만개의 신선란을 수입했고 추가로 신선란 2천만개를 수입한다는 계획이지만 4천400만개는 국내 1일 생산량이며, 추가 2천만개 수입량은 0.5일 생산량이다. 정부의 ‘보여주기식’ 탁상행정에 불과하다”라고 꼬집었다.
이어 그는 “계란 수집에 고통을 겪던 일부 업체가 계란 수입을 자체적으로 추진했지만 극히 미미한 물량이고 일시적임에도 불구, 정부의 정책 실패에 대한 분노의 모든 화살이 유통인에게 쏠리고 있다”며 “일부 산란계농가들이 수입관련 유통업체의 상호를 공개하고 암암리에 농장들에게 해당 유통업체와의 거래중단을 종용하는 등의 상황마저 발생한 현실이 안타깝다”고 말했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