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득환 교수(한경대)최근 한우사육농가수의 지속적인 감소로 인하여 2014년 말 이후 10만호 이하로 낮아졌으며 사육두수는 2015년 9월 현재 약 270만두를 예측하고 있다. 국내산 소고기 공급량은 다소 감소하고 있는 반면에 외국산 소고기 수입량은 다소 증가 추세에 있다. 또한 숫송아지의 가격이 증가하…
양창범 박사(농진청 국립축산과학원)요즘 축산현장에서 공통적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가축분뇨 처리 및 악취, 가축질병 발생 등일 것이다. 특히 축산악취에 대한 문제는 이웃과의 다툼뿐만 아니라 축산에 대한 배타적인 정서를 유발시켜 안티축산이라는 용어가 탄생한 원인 중의 하나라고 본다.…
박용호 교수(서울대 수의과대학)이 글을 쓰고 있는 지금 (6/15, 월) 서울삼성병원이 부분 폐쇄 (shutdown)를 선언하였다. 긴박한 병원내 감염 (nosocomial infection) 이나 전염위험이 있을 때 극단적으로 이루어지는 처방이다. ‘병 고치려고 병원에 갔다가 병을 얻어온다’ 라는 말이 바로…
윤성식 교수(연세대)유산균은 수많은 균종이 있고, 지금도 새로운 종들이 속속 학계에 보고되고 있다. 소위 유산균이란 당을 대사하는 능력에 따라서 편의상 구분하는 특정 미생물 집단이다. 그들은 포도당을 발효하여 젖산을 많이 생산하는 능력 때문에 타미생물과 뚜렷이 구별된다. 초산과 젖산을 3:2 비율…
박용호 교수(서울대 수의과대학)지난해 말부터 본격적으로 다시 고개를 쳐든 FMD 발생소식을 접하면서 안타깝고 답답한 심정이다. 동물방역, 검역, 위생은 물론 농산물, 수산물 검역 및 위생관리를 총괄해본 경험이 있는 사람으로서 몇 가지 가슴속에 있는 생각을 정리하려고 한다. 우선 한시적 땜질이 아닌…
이중복 교수(건국대학교 수의과대학)돼지유행성설사(PED)바이러스는 1992년 대한민국에 처음으로 나타난 이래로 겨울에 집중적으로 설사병을 일으키면서 돼지 농가에 지속적인 피해를 입혀왔다. 그러나 국가동물방역통합시스템(KAHIS)의 통계자료를 살펴보면 FMD가 전국적으로 발생했던 2011년~2…
양창범 박사(농진청 국립축산과학원)가축개량은 왜 하는가? 대답은 간단하다. 가축의 능력을 극대화 시켜 ‘경제적 이익을 최대화하기 위함’이다. 일반적으로 가축개량은 가축의 유전적 소질을 개선하여 생산능력을 높이거나, 효율성을 증진시켜 인류의 생활을 윤택하게 하는 것이 목적이라고 설명하기도…
최창본 교수(영남대학교)한우고기에는 지방이 많아서 사람의 건강을 해친다고 야단들이다. 논란이 불붙은 김에 아예 근내지방도 위주의 현행 한우 육질등급 판정 기준을 바꾸자는 주장도 나온다. 이러한 주장을 하는 개인이나 단체에게 필자는 공개적으로 묻고자 한다. 한우 육질등급 판정 기준을 바꾸고 (근…
이득환 교수(한경대학교)2000년 초반 약 150만두의 한우사육은 매년 증가하여 약 300만두 가까이 증가하였으나 최근 보합세 또는 약간의 감소폭을 유지하여 2014년 현재 약 270만두를 사육하고 있는 반면에, 사육농가는 2000년도 약 50만 농가에서 급격한 감소를 보여 2014년 현재 약 10만호에 이르러…
김유용 교수(서울대학교)1960년대에서 70년대 초반까지 우리나라 시골에서는 성황당에서 고사를 지낸 후 제물이었던 돼지고기를 수육으로 만들어 마을사람들이 함께 나누어먹던 아름다운 전통이 있었다. 그때는 음식이 귀했으니 고사음식에서 고기의 양이 많은 부위가 가장 인기있었던 때로 기억을 한다.…
윤성식 교수(연세대학교)선사시대부터 인류가 먹어왔던 유즙(乳汁) 중에서 특별히 우유는 유럽인들의 주식으로 자리 잡으면서 마치 기독교가 세계 각국으로 전파되듯이 빠르게 지구촌 식품으로 자리 잡았다. 우유는 요즘도 중국과 같은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그 소비가 크게 신장하고 있으니, 경제 선진국으…
황병익 회장(동물자원과학회 낙농연구회·농도원목장 대표)어떤 산업이든 그 사회의 요구와 필요성 없이 존재할 수 있는 산업이란 없다. 낙농산업도 예외는 아니다. 낙농산업이 이 땅에 처음으로 뿌리를 내린 지난 70 여년 동안 낙농산업도 소득 증대와 더불어 국민건강과 청소년 성장식품으로서의 필요가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