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 양창범 제주대 석좌교수 요즘 대부분의 언론에서 축산업계가 여러 가 지 어려움에 처한 현실을 표현하는 단어 가운데 ‘사면초가(四面楚歌)’라는 고사성어를 많이 사용 하고 있다. 사면초가의 유래는 ‘사방(四方)에서 들리는 초(楚)나라의 노래’라는 뜻으로, 적에게 둘러싸인 상태나 누구의…
[축산신문] 허선진 교수(중앙대학교 동물생명공학과) 국내산 재래소는 한우(황우), 칡소 (호반우), 흑우 그리고 백우 4종류 정도로 크게 구분하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품종으로는 우리가 이미 잘 알고 있는 황갈색의 한우이고 국내에는 약 350만두 정도 사육되고 있다. 이에 반해 칡소, 흑우 및 백우 등은 사…
[축산신문] 정영철 대표(정피엔씨연구소) 국제 곡물 선물가격이 갑자기 약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6월20일 톤당 380 달러까지 치솟았던 시카고 밀 선물가격이 7월6일 현재 291.65 달러로 23%나 급락했다. 미국 달러의 강세와 북반구 전역의 겨울밀 수확 가속화로 인해 세계 밀 공급량이 증가했기 때문이…
윤요한 교수(숙명여대) 여러가지 외교적인 문제가 있겠지만 최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했다. 전쟁이 항상 그렇듯 그 상황은 너무나도 참혹하다. 우크라이나는 여러 국가에 도움을 요청했다. 많은 국가가 이유없는 전쟁이라며 맹비난을 퍼부었다. 하지만 이 전쟁에 섣불리 참전하는 국가는 없었다. 시간…
강 환 구 교수(세명대학교 동물바이오헬스학과) 소, 돼지, 닭 등 식용동물은 질병을 치료하는 과정에서 동물약품을 사용하고 이들 물질들이 가식부위(고기)에 잔류되기 때문에 사람이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는 기준인 잔류허용기준을 정해 관리하고 있다. 잔류허용기준을 정하기 위해서는 독성시험, 대사시험…
박 규 현 교수(강원대학교) 이 글을 읽으시는 독자분들 중에는 ‘정육점에서 고기를 손질한 후에 버리는 부산물은 어디로 갈까? 감자탕집에 가면 그 많은 뼈는 어디로 갈까? 다른 방법으로 사용할 수 없다면 열심히 키워 생산한 축산물이 음식물 쓰레기가 되는 것이 안타깝다.’라는 생각을 잠깐이라도 하신 분…
양 창 범 석좌교수(제주대학교) 1972년에 가수 남진이 불러 히트한 ‘임과 함께’라는 노래의 배경이 되는 저 푸른 초원인 초지의 면적이 해마다 급속히 줄어들고 있다. 농식품부의 2021년 전국 초지관리 실태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초지 면적은 3만2천388ha이고, 전년도와 비교하여 168ha가 감소했다…
허 선 진 교수(중앙대 동물생명공학과) 2018년 환경부가 보고한 자료에 따르면 국내 온실가스 총배출 비율에서 축산업을 포함한 농업이 배출하는 온실가스는 전체의 2.9%에 불과함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축산업이 온실가스의 주요 배출원인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 이러한 잘못된 인식은 정부가 탄…
정영철 대표(㈜ 정피엔씨 연구소) 미국의 IRI(Information Resources Inc.)는 지난 1월 24일 미국 아틀란트에서 개최된 IPPE(세계 축산 박람회) 컨퍼런스에서 코로나19 대유행이 소비자들의 육류구매 방식을 어떻게 변화시켰는지에 대해 발표했다. IRI는 5천만 명의 쇼핑 카드 결재 추세를 분석…
전중환 농업연구관(농진청 국립축산과학원 동물복지연구팀) # 시작하며 우연히 농업분야의 신문 내용들을 흝어 내려가다 ‘토종벌농가수가 10분의 1로 줄었다’는 기사를 접했다. 낭충봉아부패병(囊蟲蜂兒腐敗病)으로 인한 토종벌의 개체수 급감이 주요 원인이라고 한다. 이 낭충봉아부패병은 토종벌 유충…
박 규 현 교수(강원대학교) ESG는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 또는 의사결정(Governace)를 뜻한다. ESG가 대두되기 전의 기업 가치는 회계학이나 재무학 등 숫자로 나타낼 수 있었다. 하지만 지금은 기업의 가치 평가에서 환경과 사회에 악영향을 주는 지배구조/의사결정을…
오인환 명예교수(건국대학교) 지구 위기설 기후변화, 즉 온실효과로 지구가 더워지고 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많은 사람들이 지구온난화가 인간이 만들어낸 것이고 위험한 것이라고 한다. 그들은 온난화가 발전소, 자동차로부터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논과 가축들이 배출하는 메탄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