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 재 길 대표이사(올텍 코리아㈜)우리나라의 축산업은 축산물 연간 생산총액이 20조원에 달하는 대규모 산업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중요한 산업에는 항상 위기가 존재하게 된다. 세계적으로 축산업에 위기를 초래한 경우는 유럽에서 구제역 발생, 영국을 중심으로 발생한 광우병, 맥시코에서 발생한 돼…
구 본 현 대표이사(신한바이오켐)지난 2004년 4월에 발효된 칠레와의 자유무역협정(FTA)을 시작으로 2011년 EU, 2012년 미국, 2014년과 2015년에는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및 중국과 FTA를 체결함으로 한국축산은 지구상의 거의 모든 축산 강국과의 국경 없는 경쟁관계에 돌입했다. 협정발효에 따라…
박 규 현 교수(강원대학교)대산농촌문화 2015년 여름호의 ‘농업정책, 지속 가능한 농촌정책으로 전환하자’(김태연)를 보면 ‘농가소득향상’을 위한 농업정책이 우리 농업의 현재 문제를 야기했다고 한다.타 산업에 비해 정체되는 농업 성장, 고령화와 후계자 부족 등 농업의 취약한 인력구조, 농가 수익성…
박 규 현 교수(강원대학교)학교를 다니면서 그리고 사회에 나와서 많이 듣는 지식에 대한 명언들이 있다. 그 중 ‘아는 것이 힘이다.’, ‘알아야 면장(面墻)’, ‘귀가 얇다.’라는 명언을 많이 들을 수 있었다.‘아는 것이 힘이다.’라는 말은 영국의 프란시스 베이컨이 한 말이며, 과거의 일들이 현재에 영향…
정 경 수 교수(건국대학교(경상학부))축산업계의 원로가 우리 축산의 미래에 대한 안타까운 마음을 시론에 게재한 적이 있다.한국 축산은 혐오산업 취급을 당하면서 위기에 봉착해 있지만 실효성 있는 어떤 노력과 구호도 보이지 않고 발등에 떨어진 불마저 제대로 끄지 못한 채 어디로 가야할지 방향 감각을…
진구복전남대 동물자원학부 교수할랄(Halal)이란 이슬람법에 따라 ‘허가된 것’을 말한다. 이에 반대되는 것은 하람(Haram)으로 ‘금지된 것’으로 풀이된다. 따라서 할랄식품은 무슬림들에게 ‘먹을 수 있도록 허가된 식품’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천연의 야채, 과일 및 해산물 등은 할랄에 속하는…
민 동 수 대표이사((주)다비육종)전북지역에서 발생한 구제역(FMD)으로 해당지역의 돼지에 대한 이동제한이 한참 진행중이던 시기에 덴마크로 출장을 다녀오게 됐다. 출장중에 그곳의 종돈장을 방문하는 일정도 계획되어 있었는데, 혹시 구제역이 발생중인 국가의 방문객이라 농장출입이 제한되지 않을까…
김 정 주 명예교수(건국대)식품의약품안전처가 지난 2015년 12월 산란계농가 및 계란 유통인들을 상대로 한 “계란안전관리 추진방향 최종설명회”에서 계란 산란일자와 생산자 등 이력정보를 난각과 포장지에 인쇄해 소비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히자 농가와 계란 유통업자들이 반발하고 나섰…
박규현 강원대학교교수2015년 12월 12일(토) 19시 30분에 프랑스 파리에서는 195개 참가국이 모인 가운데 ‘파리 협정(Paris Agreement)’을 채택하고 제21차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1)을 폐막하였다. 이 협정은 55개국 이상, 그리고 그 국가들의 배출량 총합이 인간이 배출하는 전체 온…
손 용 석 교수(고려대학교)국민 소득의 꾸준한 증가와 함께 국내 주요 축산물의 수급량과 수급외형액은 해마다 증가 추세다. 문제는 증가하는 내수에도 불구하고 자급률은 오히려 감소하고 있다. 치즈 등 유제품 전체 소비 증가분의 대부분도 수입산이다.전통적으로 쌀밥 중심의 전통적인 온식(warm mea…
양 철 주 교수(순천대 동물자원과학과)최근에 우리나라에서는 고기 섭취가 건강에 해롭고 채식이 건강에 이롭다는 주장이 일부에서 제시되고 있고 많은 논쟁이 되고 있다. 잡식성 동물은 동물성 먹이나 식물성 먹이를 가리지 않고 다 먹는 동물을 지칭하며, 인간은 잡식성 동물이라는 사실을 모두 알고 있고 초…
채 병 조 교수(강원대학교 동물자원학부)소비자들에게 “국내산 축산물의 가격이 비싼데도 불구하고 왜 구입하는가?”라고 질문하면 그들은 대개 “품질을 믿을 수 있으니까”라고 막연하게 대답한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역설적인 표현이긴 하지만, 국내산 축산물이 차별화되어야 하는 이유는 ‘가격이 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