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인 호 교수(단국대학교 동물자원학과) 최근 글로벌 선진 기업들은 내부 연구개발의 한계를 인식하고 기업 외부의 지식과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개방형 혁신 (외부의 아이디어와 기술을 활용하고 내부에서 개발된 기술을 외부로 내보내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는 새로운 R&D 방식)을 도입하고…
남 성 우 박사(전 농협대학교 총장)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라고 했다. 인간은 타인과의 관계 속에 존재하는 것이고 사회를 떠나서는 살 수 없다는 말이다. 가족은 개인이 속한 가장 작은 사회이고 마을, 읍면, 시군 등은 지리적으로 조성된 지역사회이며 학교, 교회, 단체, 회사 등은 특정한…
이무하 명예교수(서울대) 지구상의 인구수는 UN의 예측에 의하면 2050년까지 90억명이 넘을 것이다. 선진국의 출생률은 감소하여 인구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하지만 지구의 다른 한 편에 있는 많은 개도국에서, 특히 사하라 남부 아프리카 지역과 동남아시아의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기대되어 지…
박 종 명 원장(한국동물약품기술연구원) 항생물질(抗生物質)은 다른 미생물의 세포에 선택적으로 작용해 그 세포를 죽이거나 더 이상 증식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약리작용을 나타낸다. 이러한 물질로 만든 약을 항생제(抗生劑) 또는 일상적으로 마이신(mycin)이라고도 부른다. 항생물질이 임상의학에 이용…
윤 여 임 대표(조란목장) 여름을 보내며 모든 사람들이 너나 할 것 없이 왜 이렇게 덥냐고, 더워서 못살겠다고 아우성이었다. 정말 더웠다. 미용실에 갔더니 손놀림이 유연하고 감각이 뛰어난 원장도 능숙하게 가위질을 하며 더워서 못살겠다고 하소연이었다. 에어컨의 온도는 22℃. 하마터면 이렇게 시원한 곳…
양 창 범 연구관(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전 세계 소의 품종은 800여종 이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대부분의 나라가 자국 고유의 소들을 보유하고 있으며, 동물유전자원으로서 다양성과 가치 창출을 위해 보존과 개량에 노력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FAO의 가축다양성정보시스템(DAD-IS)에 한…
김 인 호 교수(단국대학교 동물자원학과) 최근 가속화되고 있는 정보 지식, 데이터 혁명의 시대에 있어서 대학의 사회적 기능과 역할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우리나라 대학 교육의 가장 큰 변화는 1990년대 중반 이후 대학 진학률이 급격하게 증가해 대중화 단계를 넘어 진학률이 50% 이상인 보편화 단계에 접…
남성우 박사(전 농협대학교 총장) “계란이 사라졌다”, “괜찮다더니…살충제 계란” 8월 16일 주요 신문의 1면 머리기사다. 계란에서 사용이 금지된 살충제 성분이 검출돼 일부 대형유통점들의 계란 판매대가 텅 빈 사진이 함께 실렸다. 지난 1일 유럽에서 똑 같은 일이 벌어져 큰 홍역을 치룬지 보름 만에…
박규현 교수(강원대) 2016년 11월 16일. 고병원성조류인플루엔자(HPAI)에 대한 최초 의심 신고가 접수됐다. 이후 전국에서 2017년 4월까지 383건이 발생했고, 10개 시도 50개 시군의 946개 농가에서 사육하는 약 3천787만수가 살처분됐으며 2017년 5월 13일에 모든 이동제한이 해제됐다. 하지만 2017…
이무하명예교수(서울대) 온 나라가 제4차 산업혁명 이야기로 도배를 하고 정부는 해당 위원회까지 만들었다. 도대체 세상에서는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 걸까? 메리 케이 애쉬(Mary Kay Ash)는 세상에 4 가지 종류의 사람이 있다고 했다: 세상에서 일이 일어나게 만드는 사람, 세상에서 일이 일어나는…
박 종 명 원장(한국동물약품기술연구원) 최근 언론에는 “지난해 네 살 아이가 덜 익은 햄버거 패티(고기 살)를 먹고 독성대장균 감염 후유증인 ‘용혈성요독증후군(Hemolytic Uremic Syndrome, HUS)’에 걸렸다. 피해자 가족이 맥도날드를 서울중앙지검에 고소한 일이 알려지자 사실 여부와 관…
윤 여 임 대표(조란목장) 몇 날 며칠을 내리 장맛비가 내리더니 곳곳에 수해가 났다. 비만 내려준다면, 말랐던 수로에 물이 흐르고 바닥이 갈라진 저수지에 물이 차오르기만 한다면 폭우가 쏟아져도 반갑기만 했는데 날씨가 극과 극을 달린다. 파종을 하면 싹이 나서 자라는 것이 당연하지만은 않다는 사실에 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