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규현 교수(강원대학교) 지난 1월 15일, 17일, 18일에 서울시에서는 ‘서울형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를 발령해 ‘출퇴근 시간 대중교통 무료 운행’을 실시했다. 이 날들에 투입된 예산은 약 150억원이라고 했다. 직접적 예산 투입에 따라 그 효과에 대한 의구심과 그 정책의 필요성에 대한 의견들이 많이…
김성훈 대표(피그진코리아) 우리는 가축을 사육하는 것이 아니라 고기를 생산하고 있다. 돼지나 소를 키우는 것이 아니라 돼지고기나 쇠고기를 생산하고 있는 것이다. 돼지고기를 생산하는 농장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생산비를 낮추고 돼지고기의 판매가를 높여야 한다. 종돈 개량의 목표는 돼지고기를 생산하…
남성우 박사(전 농협대 총장) 우유는 114가지 영양소가 고루 들어 있는 소위 ‘완전식품’이라고 한다. 어린 새끼가 어미의 젖만 먹고도 무럭무럭 자라는 것을 보면 분명하지 않은가. 인류가 목축을 영위하면서 가장 널리 섭취해온 식품도 동물의 젖(乳)이다. 우유는 특히 청소년의 성장과 발육에 필요한 영양…
박 종 명 원장(한국동물약품기술연구원) 이번에 새로이 발표된 WHO의 항균제 사용지침은 동물에서 질병예방을 위한 예방적 항생제 사용을 금하고 있다. 이에 대해 세계동물약품협회는 성명서를 통해 집단사육을 하는 축산의 현실에 비춰 집단투약이 불가피함을 밝혔다. 항생제의 예방적 투여는 지난해 10월…
윤 여 임 대표(조란목장) 뉘엿뉘엿 노루꼬리처럼 짧은 겨울 해가 넘어가면 목장에서는 저녁 착유가 시작되고 지붕 위 굴뚝에서 피어오르는 연기는 행복이 별 것 아니라는 것을 일깨운다. 십 여 년 전에 참나무 숲에 터를 다져 집을 지으면서 쟁여둔 장작이 수월찮아 겨울 한 철 난방은 물론 한겨울의 시골정취를…
박규현 교수(강원대) 연말이다. 많은 사람들이 그동안 보지 못했던, 고마웠던, 아쉬웠던 사람들과 함께 어울리는 모임들에 참석하고 각자의 한 해를 보내고 있다. 술 한두 잔과 함께 시간을 보내기도 하고 다과를 하며 보내기도 한다. 모이면 그냥 이야기만 하고 헤어지지 않는다. 물이라도 한 잔 마시고 헤어진…
박종명 원장(한국동물약품기술연구원) 2017년 11월 7일, 세계보건기구(WHO)는 농민과 식품산업계가 건강한 동물의 성장을 촉진하고 질병을 예방하기 위하여 일상적으로 항생제를 사용하는 것을 중단할 것을 권고하는 새로운 지침 ‘식용동물(이하 본고에서는 ‘농장동물’이라 함)에서 의학적으로 중요…
남 성 우 박사(前 농협대학교 총장) ‘저탄고지’ 식생활이란, ‘저탄수화물·고지방(Low Carbohydrate High Fat)’ 식생활을 편의상 줄여서 표현한 것이다. 우리가 섭취하는 칼로리의 원천 중에서 탄수화물은 낮추고 지방은 높이자는 의미이다. 쌀을 주식으로 하는 우리의 전통적인 ‘고탄수화…
이무하 명예교수(서울대학교) 인류가 농업사회를 벗어나면서 발전은 지구적 명제가 되었다. 그러나 인간이 추구하는 이러한 발전은 한정된 자연자원(땅, 물, 영양소, 에너지 등)과 이를 지원하는 생태계를 무시하면 지속가능하지 않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따라서 유엔 회원 193개국은 2015년 9월에 향후 15…
윤 여 임 대표(조란목장) 몇 년 전 슬로베니아의 수도 루블라냐에서 재미있는 광경을 보았다. 오랜 비행의 피곤함이 채 가시지 않은 데다 비까지 추적추적 내리고 있어 한층 우수를 자극하는 거리를 느릿느릿 걷고 있는데 귀여운 젖소캐릭터를 그려 놓은 우유자판기를 만났다. 공병 자판기에서 병을 산 뒤 돈을…
박 규 현 교수(강원대학교) 지난 11월 7일부터 8일까지의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 이후에 많은 언론에서 그 효과에 대해 분석을 했다. 우리나라는 한미 동맹관계가 굳건하며, 코리안 패싱이 기우라는 ‘명분’을, 그리고 미국은 무기 수출과 자유무역협정(FTA) 협정 개정에 속도를 낼 수 있는 ‘실리’…
남 성 우 박사(前 농협대학교 총장) ‘축산(畜産)’에서 ‘축(畜)’자를 파자(破字)하면 ‘玄(검을 현)+田(밭 전)’이다. 즉 밭을 검게 한다는 말이다. 밭이 검다는 것은 비옥해 땅 심(地力)이 좋으므로 농작물이 잘 자란다는 뜻이다. 예로부터 농사를 잘 지으려면 가축을 키워서 거름을 많이 생산해야 했다.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