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김수형 기자] 격동의 세월 속에서 대한민국 축산업은 양적, 질적으로 놀라운 발전을 이루며 국가 경제의 중요한 한 축으로 자리매김했다.
40년 전, 가내수공업에 가까웠던 축산은 이제 국가 기간산업으로 자리매김하며, 세계와 경쟁하는 첨단 산업으로 성장했다.
소득 증가와 식생활 변화는 축산물 소비 확대를 이끌었고, 산업 규모는 눈부신 성장을 기록했다. 국내 사육 두수와 생산량은 꾸준히 증가했고, 축산물 유통과 가공·수출까지 영역을 넓히며 산업의 외면을 확장했다.
최근에는 ICT 기반 스마트팜, 인공지능 사양관리, 친환경 축산 기술이 빠르게 도입되면서, 축산업은 더 이상 ‘전통적 농업’이 아닌 ‘미래 산업’으로 변모하고 있다.
특히 한류 확산과 맞물린 K-축산물의 수출 확대는 산업 세계화를 상징하는 성과로 꼽힌다. 이는 끊임없는 기술 혁신과 축산농가의 땀방울이 만들어낸 위대한 성과다.
눈부신 성장 뒤에는 숙제도 남았다.
구제역,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등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가축전염병은 산업 전체를 흔들며, 막대한 방역 비용과 농가 피해를 초래했다.
탄소중립과 ESG 경영이 세계적 흐름으로 자리잡으면서, 축산업은 환경 부담을 줄이고 지속가능한 생산 체계를 구축해야 하는 도전에 직면했다. 또한 동물복지와 식품안전 요구가 강화되면서 소비자 눈높이에 맞춘 새로운 기준을 수용해야 한다는 과제가 주어졌다.
더불어 고령화된 농촌 사회에서 청년 인력 유입과 세대 교체는 여전히 미완의 과제다. 젊은 세대가 축산업에 희망을 걸 수 있는 기반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러한 과제들은 때로는 고통스럽지만, 더 나은 미래를 향한 필수적인 과정이다.
전문가들은 앞으로의 40년은 ‘양적 성장’보다 ‘질적 성장’이 핵심 과제가 될 것이라고 입을 모은다.
스마트팜 기술과 인공지능에 기반한 사양 관리, 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지속가능한 생산, 그리고 소비자와 공감하는 소통이 미래 산업의 경쟁력이 될 전망이다.
정부와 업계의 협력, 연구·교육기관의 뒷받침이 더해져야만 비로소 ‘대한민국 축산업 100년 비전’이 실현될 수 있을 것이다.
오세진 축단협 회장은 “이를 위해 축산신문은 앞으로도 변함없이 우리 축산업의 발전과 함께하며 새로운 희망을 향한 길잡이가 되어 달라”고 주문한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