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 “수급 현실 반영한 정부 대책 절실”
[축산신문 김수형 기자] 계란유통인들이 계란 부족으로 인한 난가 상승, 그리고 원가 이하의 납품을 요구하는 마트의 갑질, 더 나아가 공정거래위원회의 가격담합 조사까지 받으며 ‘삼중고’에 시달리고 있다고 토로했다.
한국계란산업협회(회장 강종성)는 지난 10일 협회 회의실에서 기자간담회<사진>를 열고 유통인들이 현재 처한 상황에 대해 설명했다.
계란산업협회는 지난 6월 25일 가격 담합 문제로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조사를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공정위가 대한산란계협회를 시작으로 조사를 벌인지 9일만의 일이다.
협회는 “대부분 영세상인들인 3천100여명의 식용란수집판매업자들은 ‘을’의 위치에서 힘겹게 업(業)을 영위하고 있는데 정부로부터 조사까지 받는 현실에 망연자실하며 앞날을 걱정하고 있다”고 호소했다.
계란산업협회에 따르면 현재 고병원성 AI의 영향, 농장에서의 소모성 질병, 그리고 폭염 등으로 인해 생산성이 떨어지며 계란 생산량 자체가 부족한 상황이다. 여기에 정부가 2018년 7월 ‘축산법 시행령‧시행규칙’ 개정으로 7년간 유예되어 오던 산란계 케이지 적정 사육 마릿수를 마리당 0.05㎡에서 0.075㎡로 상향 조정하면서 농장에서 8월 말 기준으로 성계를 입식하기 위해 기존의 2개월 이상 생산할 수 있는 닭을 출하하면서까지 무리한 입식이 이뤄지고 있어 생산량 감소세가 가속화되고 있다.
여기에 요즘 물가가 많이 상승해 브랜드 커피 한 잔에 6천~7천원 정도 하는 점을 감안했을 때, 특란 기준 계란 30개 1판 가격이 7천원 대라면 결코 비싸지 않은 가격이며, 식자재마트에서 각종 명분을 만들어 무리하게 할인해 판매하는 가격이 기준점이 되어 비교되는 것도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협회 측은 현재 계란 1개 농장 생산원가가 135원~150원이라며 현재의 계란 가격이 결코 비싸지 않다는 분석을 내놨다.
또한 2018년 4월 식용란선별포장업을 신설하면서 소비자들은 공청회를 통해 “계란 품질이 좋아지는 만큼 계란 가격을 더욱 지불할 것”이라고 약속했음에도 이제 와서 계란가격이 비싸다고 주장하는 소비자 단체의 주장 역시 설득력이 떨어진다고 비판했다.
계란산업협회 강종성 회장은 “협회는 정부의 물가 안정 정책에 적극 동조하며 언제든지 계란 가격 안정화를 위한 정부 정책에 적극 협조할 의향이 있다”며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되는 계란 가격이 오른 이유를 명확히 들여다보고 생산자‧유통인‧소비자 모두 피해를 입지 않는 제대로 된 정책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