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돼지 정산가격의 ‘탕박등급제’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현행 박피 가격정산이 돼지 가격 불안정 등 폐해를 유발한다고 보고, ‘탕박등급제’ 전환을 적극 추진키로 했다.
예전에는 박피거래가 주류를 이뤘지만, 현재는 급감해 박피 가격정산이 돼지가격 전체 기준이 되기에는 ‘대표성’을 잃었다는 판단에서다.
아울러 현행 생체중 정산방식이 가격 불투명성을 일으키는 한 요인이 되고 있다고 파악, 지육무게 방식으로 바꿔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농식품부는 박피 가격 정산을 대체할 대안으로 ‘탕박등급제’를 제안하고 있다.
현재 대다수를 차지하는 탕박 거래에다 등급제를 더한 형태다.
특히 등급제의 경우 품질등급을 매긴 뒤 지육무게를 재 가격을 정산하기 때문에 생체무게로 정산하는 관행을 없앨 수단으로 인식하고 있다.
하지만, 박피와 탕박 가격정산 사이 여전히 격차가 커 탕박으로 가기에는 적지 않은 난관이 예상된다.
돼지고기 등급제 역시 소비자 인지도가 낮고, 등급선호도가 달라 등급별로 가격을 산정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농식품부는 ‘탕박등급제’ 전환에 대해 육가공업체 뿐 아니라 많은 농가들도 공감하고 있다면서도 가격정산의 경우 선택의 문제여서 의무화 등 강제하기는 어렵다고 전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탕박등급제’가 돼지 거래의 투명성 확보는 물론이고, 장기적으로 돼지고기 품질향상을 이끌어내는 등 양돈산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앞으로 농가 등이 ‘탕박등급제’에 참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유인책을 마련할 방침이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