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김영길 기자] 축사 고온·습도 차단…내부 환기 원활하게 내 농장 여건 맞는 시설·기자재 도입 중요 비타민 등 보충 특별 보양식 공급도 필수 하루가 다르게 기온이 올라가고 있다. 한낮에는 한결 가벼워진 옷차림을 쉽게 볼 수 있다. 매섭기만 했던 바람도 이제 시원하게 느껴진다. 여름은 또 이렇게 바짝 다가오고 있다. 여름은 사람 뿐 아니라 가축들에게도 인고의 계절이다. 가축들은 오밀조밀 모여있다보니, 더위에 약할 수 밖에 없다. 돼지, 닭의 경우 땀샘이 발달하지 않아 더욱 더위 스트레스를 받는다. 사료섭취량은 줄고 생산성은 떨어진다. 게다가 우리나라 여름은 습도마저 높다보니 질병 위협에 자주 노출된다. 냄새도 여름에 더 풍기기 마련이다. 특히 지구온난화 등에 따라 여름 더위는 점점 강해지고 있다. 기온은 40℃에 육박하기 일쑤고, 기간도 길어지는 추세다. 올 여름 더위 역시 더욱 기승을 부릴 것으로 예상된다. 가축도, 농가도 쉽지 않은 행군이다. 축산농가들은 벌써 걱정이다. ‘헉헉’ 더위에 지친 가축을 보고 있으면 “본격 더위는 아직 시작도 안했는데”라며 한숨부터 나온다. 가축들이 사료를 거들떠보지도 않으면, 정말 집안에 있는 에어컨을 축사안에 가져다
[축산신문 김영길 기자] 냄새 근본적 해결…민원 불식 ‘당당 축산’ 도움 천연 과실류 원료…경화분뇨 분해 등 탁월한 효능 출하일령 단축 등 생산성 개선…원헬스 밑거름도 축산농가는 더워지는 날씨에 벌써 고민이다. 아무래도 더우면 냄새가 더 날 수 밖에 없어서다. 농가들은 아침에 일어나면 “킁킁” 냄새부터 맡아본다. 조금이라도 냄새가 나면 ‘좌불안석’ 불안하다. 축산농가는 냄새스트레스가 이만저만 아니다. 정말 날아가는 냄새를 손으로라도 잡고 싶은 심정이다. 그만큼 간절하다. 냄새문제는 이렇게 축산 최대현안, 필수과제가 됐다. 농가들은 냄새문제를 풀지 않고서는 축산을 아예 할 수 없다고 밝힌다. ‘제발 똑 부러지는 제품’ 하나만이라도 있었으면 하는 바람을 전한다. 지앤비솔루션(R&D CEO 유태철)이 개발·공급하고 있는 ‘바이오매직(Bio-magic)’이 바로 그 똑 부러지는 냄새저감제다. 바이오매직은 오렌지, 파파야 등 과실류에서 추출한 천연물질을 발효해 제조한 효소복합액이다. 다량의 효소 외에도 조효소·아미노산·비타민·미네랄 등 보조분자들이 포함돼 있다. 천연제제이기 때문에 생체와 환경에 어떠한 영향도 주지 않는다. 축산분뇨를 분해하고, 냄새를 유발하는
[축산신문 김영길 기자] 천연 추출물…사료첨가용 오리지널 천연비테인 삼투압·탈수방지 작용기전…체내 수분균형 유지 불필요한 에너지 소모 막고 가축 빠른 성장 도움 우리나라 여름철은 고온과 함께 습도가 높다. 가축 사양에 불리한 환경이다. 가축들은 여름철 고온스트레스를 받을 수 밖에 없다. 더욱 특별한 가축 사양관리가 요구된다. 여름철에 많이 사용하는 것이 고온스트레스 예방 첨가제다. 많은 제품이 판매되고 있으나 비테인 제품만큼 직접적으로 스트레스 예방 효과를 나타내는 제품을 찾기는 쉽지 않다. 씨티씨바이오는 국내 사료첨가제용 오리지널 천연비테인 제품인 ‘베타핀’을 판매하고 있다. 베타핀의 주요 성분인 천연비테인(Natural Betaine)은 동식물에서 자연 발생하는 천연 물질이다. 가축에 있어 생산성 향상, 정육률 증가, 드립 로스 감소, 장관 강도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갖고 있다. 또한 체내에서 합성되는 단백질, DNA/RNA, 핵산, 콜린을 위한 methyl기를 공급해 준다. 무엇보다도 세포 내에 비테인이 축적돼 수분을 잡아준다. 탈수를 예방하는 삼투압 유지 기능이다. 오직 천연 비테인에만 있다. 유사 제품(비테인 염산염)은 이 기능을 발휘하지 못한다. 일
[축산신문 김영길 기자] 녹시펌, 강력 항산화 작용…더위 스트레스·섭취량 저하 방지 제톡스, 항곰팡이·항독소·항박테리아 기능 동시 작용 필수품 각각 덴마크·영국 글로벌기업으로부터 수입 공급…품질 공인 베타코리아(대표 강현봉)가 수입·공급하고 있는 ‘녹시펌(NoxiFerm)’은 친환경 더위스트레스 완화제다. 항생제 대체제이기도 하다. 덴마크 R2Agro사에서 생산한다. ‘녹시펌’은 식물에서 추출한 항산화 물질을 주성분으로 한다. 이 물질은 비타민E보다 3배 이상 강력한 항산화 효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생체 내 단쇄지방산(SCFA) 생성을 돕는 에너지원인 글로콘산나트륨이 환상적으로 혼합돼 있다. 녹시펌은 ‘Oil in Water’라는 특수기술을 적용해 세포막(지용성)과 세포질(수용성)에 동시 작용한다. 강력한 항산화 작용은 더위스트레스를 확 날려버리고, 사료섭취량을 유지토록 한다. 대장 내 단쇄지방산(SCFA) 생산을 촉진시키고, 장내 융모세포 발달을 유도한다. 특히 면역력을 증대해 가축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한다. 돼지의 경우 땀샘이 존재하지 않는 피부와 두꺼운 지방층, 그리고 체격에 비해 작은 폐 등에 따라 더위에 약하다. 여름이 오면 호흡 수
[축산신문 전우중 기자] 최근 정부가 축산물위생관리를 강화한다고 밝혔다. 가축에게 농약을 사용하여 그 축산물이 축산물위생관리에 저촉될 경우 행정처분을 내리겠다는 것이다. 이에 전국 양봉농가들은 항생제와 살충제 사용을 자제하고, 친환경제제나 유기약품 사용을 권장한다. 물론 시중에 친환경제제나 유기약품들이 출시되고 있지만, 일부의 경우 치료와 효능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이들 약품 사용을 기피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하지만 축산물위생관리가 엄격해진 만큼 이제는 변화에 노력하는 자세가 필요해 보인다. 꿀벌을 키우다 보면 본의 아니게 많은 질병에 노출된다. 전염성이 강한 낭충봉아부패병 질병부터 부저병, 석고병(백묵병), 노제마병, 진드기(응애) 등이 그 대표적인 꿀벌 질병이다. 이에 본지는 대표적인 꿀벌5대 질병 대해 알아보고 효과적인 치료와 예방을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진단해 보고자 한다. 부저병 유충 갈색으로 변화 사멸…벌꿀 최대 질병 치료법 없어 벌통·기구·밀랍 등 소각이 안전 부저병은 유충벌의 질병 가운데 가장 무서운 질병중 하나다. 꿀벌의 유충이 발육 도중에 죽어서 썩게 되는 법정전염병이다. 부저병은 병원균에 따라 아메리카부저병, 유럽부저병, 파라부저병, 색브
[축산신문 조용환 기자] 서울우유 낙농지원상무로 정년 퇴임 30년간 낙농지도사업 초석 다져 목장 승계로 장구한 역사 이어가 아들 합류로 3대째 대물림 진행 손 착유로 1일 1∼10㎏씩 서울우유로 내다가 최근에는 유질이 1등급인 원유 1천450㎏을 ‘나100% 우유’로 내는 3대 대물림목장이 있다.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사릉로 156번길 8. 순흥목장<대표 이정호 대표(74세))은 이 대표의 부친<故이한순씨(현존시 101세)>이 1957년 5월16일 저지와 헤어포드 잡종 2마리를 기르면서 태동됐다. 당시는 손 착유로 처음에 1.8리터를 생산해 서울우유동업조합(서울우유 전신)으로 내면서 조합원(47번)이 됐다. 이 번호는 서울우유 조합원 1천570명(3월31일) 중 가장 빠르다. 故이한순씨는 서울우유동업조합 이사와 감사를 역임했다. 양주축협과 동부단위조합, 서울과수조합을 창립하는 등 여명기 한국농축산조합발전의 장을 연 선각자다. 장남인 이정호 대표는 중학생부터 부친의 가르침대로 손 착유한 물량을 노트에 정성껏 기록했다. 관리사에 비치된 빛바랜 노트 10여권과 70년대까지 이용한 바께스착유기 9개가 그 장구한 역사를 대변한다. 어릴 때부터 낙농에
[축산신문 조용환 기자] 35년 전 송아지 5두로 시작해 113두로 농협 1호 젖소 청정육종농가로 ‘명성’ 생애유량 13만715㎏·9산 초고능력우 생산 사육 기념비적…우공비까지 세워 젖소개량과 조사료 생산에 주력하면서 능력과 체형이 우수한 고능력 젖소를 확보하고 원유생산비를 낮추는 청정젖소육종농가가 있다.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 양연로 501-30 늘목목장<대표 남군희(66세)>은 1989년 봄 젖소 송아지 5두를 구입하면서 시작했다. 이듬해 가을 서울우유에 가입(조합원번호 11336)하고 최근 내는 원유는 1일 1천780∼1천800㎏ 사이다. 농협 젖소개량사업소 검정자료에 의하면 2월 현재 경산우 64두(착유우 60두·건유우 4두)와 후보축 49두를 포함해 113두를 보유중이다. 두당평균 산유량은 305일 보정 1만1천341㎏에 이른다. 특히 ‘늘목 253호’와 ‘늘목 231호’ 젖소는 공히 4산우인데 305일 보정 유량이 각각 1만5천377㎏, 1만5천139㎏에 달하는 초고능력우다. 또 ▲늘목 303호=1만4천875㎏ ▲늘목 250호=1만4천278㎏ ▲늘목 241호=1만4천247㎏ ▲늘목 307호=1만3천813㎏ ▲늘목 227호=1만3천685㎏
[축산신문] 선진(총괄사장 이범권)은 변화하는 사육환경 속에 선제적인 사료 혁신으로 시장의 좋은 반응을 끌고 있다. 사료는 축종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농장에서 생산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농장의 안정적인 경영에 중요한 부분이다. 그리고, 사양관리만큼이나 농장 성적의 관리에 결정적인 요소로 작용한다. 그렇기 때문에 사료는 과학적인 접근으로 최적의 영양을 가축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치밀한 연구 과정을 거쳐 생산된다. 과학적인 연구와 관리는 기본적인 덕목이라고 할 수 있고 거기서 한발 더 나아간다면 좋은 사료를 만드는 회사는 항상 변화하는 환경에 선제 대응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축산업이 다른 산업에 대비하여 변화의 속도가 상대적으로 늦게 느껴지지만, 시간의 흐름이라는 자연현상 속 우리는 어제와 다른 상황을 맞이하게 된다. 끊임없는 연구에 의한 종축개량과 기후 변화 그리고 새로운 사육방식의 등장 등 대비할 요소는 무궁무진하다. 그리고 현재 정책적인 부분도 소비 트렌드 변화와 함께 많은 변경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렇기에 사료도 변화하는 환경에 대한 혁신적인 생각의 변화가 필요하고 그러한 좋은 사례를 선진이 보여주고 있다. ◆ 모돈 전용사료 신제품 ‘윈:트리플
[축산신문] CJ Feed&Care(대표 신영수, 이하 CJ사료)는 고품질의 사료를 통해 국내 축산업 발전을 선도하며 7개국에서 31개의 사료공장을 운영하면서 글로벌 사업영역을 지속 확대하고 있다. 이런 원천에는 효자상품이 뒷받침해 줬기에 가능한 것으로 풀이된다. CJ사료는 특히 낙농사료에서 두각을 나타내면서 낙농사료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CJ사료에는 어떤 효자상품이 있는지 살펴본다. ◆ 수퍼메가믹스 목장 수익성 향상·번식문제 해결 꾸준한 사랑받는 낙농사료 대명사 2000년 이전 메가믹스(1세대)를 시작으로, 2007년 수퍼메가믹스(2세대)를 거쳐, 2017년부터 현재까지 수퍼메가믹스(3세대) 사료로 변천해 왔다. 수퍼메가믹스는 분만우의 체력회복 및 건강을 강조 한 탑드레싱으로서 1세대때부터 현재까지 낙농가들로부터 국내 최고사료로 인정받고 있는 제품이다. 낙농가들로부터 꾸준히 사랑을 받고 있는 이유는 뭘까. 대한민국 상위 10% 고능력우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요즘, 비유초기 영양불균형으로 대사성 질병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고, 목장수익성 향상 및 번식문제 해결을 위한 솔루션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바로 이런 문제 해결을 위해 탄생한 것이 수퍼메가믹스
[축산신문] 다산성 모돈시대에 본격 돌입하면서 팜스코가 이에 맞게 개발한 ‘리더맥스’ 시리즈가 인기 상종가를 구가하며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다산성 모돈을 종전과 같은 방식으로 사양관리하다보니 오히려 농장이 망가지는 경우가 심심찮게 발생하고 있는 사실에 주목하고, 어떻게 하면 이에 적합한 사료를 개발할 수 있을까를 고민한 끝에 ‘리더맥스’ 시리즈로 농장의 활력을 키워나가고 있는 것. ‘리더맥스’ 시리즈의 특장점이 뭐기에 현장에서 인기가 좋은지에 대해 다시 한 번 살펴본다. ◆ 리더맥스GT 플러스 임신돈· 포유돈 모유 분비량 늘려 자돈 균일도 향상 모돈 강건하게…생체중·산자수 증가 리더맥스GT 플러스 임신돈· 포유돈사료는 모돈의 강건성 강화 및 사료섭취량 증대를 통한 번식성적을 향상시킨다는 컨셉으로 개발된 사료. 그런 만큼 특징도 예사롭지 않다. 이 사료는 유선조직의 발달을 촉진시켜 모유 분비량을 늘림으로써 포유자돈의 균일도를 향상시킨다. 뿐만 아니라 모돈 강건성을 강화시켜 자돈 생존율과 생시체중을 향상시키며, 산자수 증가와 복당증체향상, 번식성적 향상을 가져온다. ◆ 리더맥스GT 플러스 자돈 자돈 초기성장 극대…육성률 향상 면역력 높여
[축산신문] 이젠 ‘지니피그’로 또 한번의 신화 양돈사료의 대표…제품 이상의 가치 1967년 당시 국내에 퓨리나코리아의 설립이 한국 축산업의 현대화를 이룩했다는 평가에 이의를 다는 이는 없다. 그런 만큼 퓨리나사료가 가져온 파워는 지금의 축산업을 이끈 원천으로도 평가받고 있다. 퓨리나코리아는 현재의 카길애그리퓨리나(대표 박용순, 이하 퓨리나사료)의 전신으로 퓨리나사료의 기술력과 제품력은 여전히 현장에서 인정받고 있다. 특히 양돈사료에서 그 위력을 유감없이 보여주고 있는데 양돈사료중 육성돈사료는 탁월한 섭취량과 증체 성적 뿐만 아니라 돈육의 품질 면에서도 차별화되어 제품 이상의 가치를 발휘하고 있다. 더군다나 축종별 전문화를 통해 양돈판매부장으로 구성된 양돈사업부는 그 첫 번째 시도로 환경친화, 사료위생, 고효율에 역점을 둔 신제품 ‘린텍플러스’ 시리즈를 출시하며 양돈사료에서 차원이 다른 역사를 쓰기 시작했다. 그도 그럴것이 ‘린텍플러스’는 ‘잘 먹고 잘 큰다’는 컨셉으로 환경친화적인 사료, 청정사료, 편리한 사료, 육질개선 사료라는데 초점을 두고 출시하면서 그야말로 센세이션을 불러일으킨 것이다. 심지어 양돈농가 7농가당 1농가가 이 사료를 급이할 정도로 선풍
[축산신문 박윤만 기자] 유인효과 높아 집단포획도 가능…내구성 우수 낙하식 트랩…케이지형 철골구조로 매우 안전 전세계가 코로나19 바이러스에 의한 몸살을 앓고 있는 가운데 국내 축산업계는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의 사육돼지에서의 발생을 막기 위해 야생멧돼지와 사투를 벌이고 있다. 강원대 박선일 수의과대학 교수는 국회에서 개최한 ‘야생 멧돼지 ASF 확산방지 대책 토론회’에서 “멧돼지의 이동 특성과 상황을 봤을 때 멧돼지는 이미 광역 울타리를 넘었을 것으로 확신한다”고 밝힌 바 있으며, 이미 울타리를 넘어선 예가 있다. ASF 멧돼지 개체수 줄이기가 관건 야생멧돼지에서의 ASF 발병 사례를 보면 접경지를 중심으로 경기도와 강원도에 집중 분포돼 있다. 연천, 파주, 철원 등 아프리카돼지열병 발병 지역들과 중복되어 있으며 생태 전문가들은 향후 주목해야 할 곳은 남부지방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충남 공주와 충북 괴산, 경북 경산과 경남 창녕까지 감염된 멧돼지가 확인되었으며 특히 충청도는 국내 최대 양돈단지로 멧돼지 차단에 실패할 경우 남쪽까지 확산할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환경전문가들은 남부지역 개체수도 수만 마리에 이를 것으로 분석하고 있는데도 현재는 접경지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