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과 다이어트의 적이라고 여겼던 고지방 식품이 주목받음에 따라 축산물 소비가 늘어나는 추세다. 지난 9월 ‘밥상, 상식을 뒤집다 -지방의 누명’이 방송된 이후 삼겹살, 버터 등의 고지방 식품 판매가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마트가 8~10월까지 매출을 분석한 결과 8월 19일부터 9월 18일까지 삼겹살은 전년대비 7.9% 감소한 반면 9월 19일부터 10월 12일까지 7.6% 상승했다. 버터 역시 방송 전 -19.2%로 역신장을 했다가 방송 직후인 9월 19일 41.4%로 급증했다. 육가공업계 관계자들은 최근 3개월 동안 삼겹살 판매가 순조롭지 않아 냉동으로 가공하는 사례가 있었지만 그 물량이 줄어들었다고 전했다. 판매가 부진해 덤핑물량이 있었으나 그마저도 없어졌다고 덧붙였다. 돼지고기는 추석 이후 김장시즌 전까지 판매량이 급감하는 것을 감안하면 고지방 식품 열풍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육가공업계 관계자는 “이번 고지방 저탄수화물 다이어트가 유행하다보니 삼겹살 판매가 소폭이지만 증가했다. 예년에 비해 크게 달라진 분위기다”라고 전했다.
소비자가 국산 돼지고기 원산지 거짓 표시에 당하지 않으려면 이력제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지난달 25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에 따르면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이 지난해 원산지 표시 위반 식품을 종류별로 집계한 결과 배추김치(1191건, 물량 710.8톤)와 돼지고기(1140건, 641.4톤)가 1, 2위를 차지했다. 다음은 쇠고기(581건, 165.8톤), 쌀(270건, 1626.8톤), 닭고기(173건, 170.4톤) 순이었다. 원산지 미표시로 적발된 건수는 돼지고기(323건)가 오히려 배추김치(252건)보다 많았다. 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은 소비자가 원산지를 거짓 표기한 돼지고기를 구입하지 않으려면 국산·수입산 감별법을 알고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소비자가 국산 돼지고기를 더 쉽게 가려내는 방법은 돼지와 돼지고기의 거래 단계별 정보가 담긴 돼지고기 이력번호(12자리)를 확인하는 것이이라고 지적했다. 단국대 동물자원학과 김인호 교수는 “돼지와 돼지고기 유통의 투명성을 확보하고 거짓 원산지 표시를 방지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가 돼지고기 이력제”이며 “이 제도를 통해 구제역 등 동물 질병 방역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강원대 동물생명과학대
수입 삼겹살 가격이 크게 오르고 있다. 주요 돈육수출국인 미국과 유럽이 자국내 돈가는 떨어지거나 보합세가 유지되고 있는 상황이어서 그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미국육류수출협회에 따르면 미국 현지의 돼지 지육가격은 생산량 증가에 따라 지난 5일 현재 2주 연속 하락, kg당 1.6달러에 머물렀다. 냉장 삼겹살과 목전지 가격이 다소 상승했지만 이 역시 kg당 2.3달러 수준으로 지난해에 비해 30% 하락했다. 나라별로 차이는 있으나 유럽 돈가는 지육kg당 평균 1.21~1.28달러로 지난해 수준에서 형성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들 나라가 한국에 수출하는 돈육가격은 오히려 상승하고 있다. 국내 돈육수업업계에 따르면 미국산과 유럽산 돈육의 오퍼가격(매도자가 매수자에게 제시하는 가격)은 올들어 지속적으로 상승, 최근에는 kg당 5달러에 이르고 있다. 전문가들은 중국 수요가 적지 않은 상황에서 무한리필삼겹살의 인기가 높은 한국으로부터 구입문의가 급증하자 주요 돈육수출국들이 한국 수출 오퍼가격을 상대적으로 높게 책정하고 있는 추세를 그 원인으로 보고 있다. 돈육수입업체의 한 관계자는 “과거와는 달리 국내 무한리필삼겹살 프랜차이즈업체들이 돈육수출 해외패
생산, 소비 여건 변화에 따라 소 도체 등급판정 기준이 새롭게 정비된다.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백종호)은 생산에서는 도 체중이 늘고 있고, 소비에서는 웰빙트렌드에 따라 저지방육을 선호하는 등 축산물 생산과 소비 여건이 크게 바뀌었다면서, 이를 반영해 소 도체 등급판정 기준 보완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2014년 소 도체 육질등급 기준 개정 이후 12년간 유지되고 있는 소 도체 등급판정 기준을 현실에 맞게 손질할 시점이 됐다는 설명이다. 이에 따라 축평원은 전문가 회의 등을 통해 등급판정 기준 보완(안)을 마련 중이며, 현재 그 윤곽이 대략 나와있다고 전했다. 그 안은 크게 육량등급과 육질등급 보완(안)으로 나뉘며, 육량등급과 육질등급 보완(안)은 다시 각각 1안과 2안으로 구분된다. 육량 1안은 정육량 지수산식(성별, 품종별)을 도입해 정육량을 우선 예측하고, 정육률과 조합한 등급, 예를 들어 정육량 A, 정육률 a를 부여해 Aa 등급으로 분류해 도체중이 크면서 정육률이 우수한 소 도체가 더 좋은 등급을 받게 된다. 육량 2안은 현행 정육률 예측치에 따른 등급체계를 유지하되, 최근 도체중 증가 추세를 반영해 새 육량지수 산식을 개발하게 된다. 육질
샌드위치 전문 브랜드 샌드위밋(SANDwiMEAT)사진이 지난달 23일 삼성동 파르나스몰 내 신규 매장을 정식 오픈했다. 지난 7월 광화문 D타워점에 이어 두 번째 매장이다. 샌드위밋 파르나스점에서는 주문 받는 즉시 즉석에서 만들어지는 신선한 샌드위치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매장 벽 면에는 샌드위치에 들어가는 재료와 관련 스토리를 재미있게 구성해 눈으로도 한번 더 즐길 수 있다. 특히 10시간 이상 조리 후 오븐에 구워 촉촉한 식감과 부드러운 풍미를 자랑하는 로스트 포크, 타임지 선정 수퍼푸드 터키 브레스트, 건염방식으로 생산해 고소한 풍미를 자랑하는 컨츄리베이컨 등 존쿡 델리미트의 프리미엄 육제품을 사용한 샌드위치 등을 선보이고 있다. 샌드위밋은 11월초 시청점을 오픈할 예정이다.
축산물의 소비자가격을 주단위로 비교 할 수 있게 됐다.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백종호)은 지난달 27일부터 축산 전문 포털인 축산유통종합정보센터(www.ekapepia.com)사진에서 축산물 소비자가격 비교 서비스를 제공했다. 축산유통종합정보센터(eKAPEpia)는 축평원이 2012년부터 유통가격, 통계, 전문지식 등 축산에 관련된 유통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구축·운영 중인 사이트다. 한국소비자원에서 조사한 축산물 소비자가격 정보와 연계해 축평원은 소비자들이 국내산 축산물을 합리적으로 구매할 수 있도록 축산물의 소비자가격 비교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서비스를 이용해 소비자들은 마트, 백화점, 전통시장 등 전국 373개 판매점의 축산물 4개 품목 11개 상품에 해당하는 전국 최저·최고가, 평균가격, 최저가 매장 등을 손쉽게 찾을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상품은 쇠고기등심(1+등급, 1등급), 쇠고기불고기(1+등급, 1등급), 돼지고기 삼겹살, 하림 자연실록백숙 830g, 하림 토종닭백숙 1050g, 마니커 국내산 토종닭 1050g 팩, 목초란 10구, 목초를 먹고 자란 건강한 닭이 낳은 특란(15구), 알짜란(15구) 등이다. 백종호 축평원장은 “소비자
올 추석 육류성수기에는 소, 돼지 공급량이 모두 감소 것으로 나타났다.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추석에 축종별 공급물량은 소의 경우 10만9천401두로 전년 대비 14.8%p(1만8천951두) 감소했고, 거래정육량은 2만9천360톤으로 12.8%p(4천319톤) 줄었다. 한우의 경우 9만5천147두로 전년 대비 16.6%p(1만8천914두) 감소한 반면 도매시장 평균 경락가격은 kg당 1만8천526원으로 0.7%p(122원/kg) 상승했다. 반면, 육우의 공급량은 8천364두로 전년 대비 10.2%p(774두) 상승했고, 도매시장 평균경락가격은 9천237원/kg으로 8.9%p(906원/kg) 하락했다. 도매시장 부분육 평균경락가격은 한우 등심 1등급의 경우 kg당 5만744원으로 13.2%p(7천714원/kg) 하락한 반면, 채끝 1등급은 kg당 5만4천71원으로 5.3%p(3천44원/kg) 하락했고 거래가격은 등심보다 kg당 3천327원 높게 형성됐다. 돼지의 경우 137만836두로 전년 대비 5.4%p(7만8천977두)감소했고, 거래정육량은 7만9천126톤으로 6.8%p(5천748톤) 감소하고 도매시장 평균경락가격(탕박 기준)은 kg당 5천40원으로 8
축산물품질평가원(원장 백종호)은 지난 27일 가금산물가격조사 사업의 실무위원회를 개최했다. 이번 실무위원회는 육계산지가격 외에 조사 대상 품목 확대 방안에 대해 논의했으며, 육계산지가격과 같은 방식으로 시범 수집을 통한 타당성과 시장영향력 등을 분석하고 추후 거래가격발표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자는데 의견이 모아졌다. 축평원 관계자는 “향후 공정한 거래가격 제공을 위해 관계기관과 협업해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오는 11월 1일부터 국내 육가공업체들이 관리수의사 없이도 육류를 수출할 수 있게 됐다. 한국육류유통수출협회(회장 김용철)는 육류수출 활성화를 위해 지난 수년간 지속해온 수출육류가공장의 관리수의사 의무채용제도 폐지 건의를 최근 정부가 수용했다고 밝혔다. 현재 육류가공장이 수출검역시행장으로 지정받기 위해서는 가축전염병예방법 시행규칙 제42조 3항에 따라 관리수의사를 반드시 채용해야 한다. 육류가공업계는 구제역, 돈열, AI 등 각종 질병발생으로 한정된 국가에 적은 물량만 수출되고 있는 상황임에도 수출 이외의 업무가 거의 없는 관리수의사를 의무 채용, 높은 임금을 지속적으로 지불해야 하는 어려움을 호소해 왔다. 더구나 영세한 중소업체가 많은 육가공업계의 특성상 과도한 인건비 부담으로 인해 수출자체를 포기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 초기 수출시장 진입을 가로막는 또다른 요인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 이어져 왔다. 육류유통수출협회는 이에따라 관리수의사를 고용하지 않더라도 육류를 수출할 때는 위탁 등의 방법으로도 검역시행장 지정이 가능토록 지정조건을 완화해 줄 것을 강력하게 건의해 왔다. 농림축산검역본부가 이러한 요구를 수용, 관리수의사 채용에 대한 예외기준을 마련하는 제
에쓰푸드의 정통 델리미트 존쿡 델리미트가 스타필드 하남 PK 마켓에 브랜드 존 구성을 통해 고객들과 만난다. 스타필드 하남은 신세계에서 선보이는 국내 최초 쇼핑 테마파크로 축구장 70개에 이르는 크기에 750여개 브랜드 매장 입점 규모로 지난 9일 그랜드 오픈 했다. PK마켓은 스타필드 하남 지하 1층에 위치하고 있다. 기존의 정형화되고 고급스러운 프리미엄 슈퍼마켓이 아닌 정제되지 않은 분위기 속에 최고급 식재료를 판매하는 것을 컨셉으로 하고 있다. 존쿡 델리미트는 PK마켓 내 브랜드 존 구성을 통해 다양한 제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품목군에 따라 진열 위치가 결정되는 타사 제품과 달리 브랜드 존 구성 입점은 업계 내 이례적인 일이다. 에쓰푸드 방태성 전무는 “소시지, 베이컨, 바비큐부터 까다로운 공정과정을 자랑하는 건조육에 이르기까지 델리미트 전반을 아우르는 제품 라인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라며 “존쿡 델리미트는 1976년 창립 이후 정통 육제품을 전문으로 선보여온 에쓰푸드가 운영하는 브랜드로 제품의 뛰어난 품질을 대내외에 인정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에쓰푸드는 이를 계기로 존쿡 델리미트를 프리미엄 육가공품을 대표하는 브랜드로 성장시킨다는 계획이다. 단
식약처, 8월 한달간 축산물 수입통계 결과 쇠고기 3만3천524톤 반입…전년比 26%↑ 돼지고기 수입량 줄었지만 삼겹살은 여전 닭고기 4% 감소…미산 8월 하순부터 수입 쇠고기 수입량이 심상찮다.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축산물수입통계에 따르면 쇠고기는 8월 한달 동안 3만3천524톤이 수입됐다. 이는 전년 같은 기간 대비 26.2% 증가한 물량이다. 이 가운데 냉장육이 많이 늘었다. 8월 수입량은 5천756톤으로 전년동기 대비 무려 24.6%나 증가했다. 국가별로는 미국산이 1만5천593톤으로 가장 많은 양이 수입됐으며 전년대비 36.2% 증가했다. 그중 갈비가 9천297톤으로 대부분이다. 호주산은 1만4천989톤으로 전년 동월 대비 8.2%, 뉴질랜드는 1천861톤으로 57.7% 각각 증가했다. 부위별로는 등심이 4천80톤으로 전년 4천220톤에 비해 3.3% 감소했다. 목심은 4천545톤이 수입돼 전년 2천222톤 보다 두 배 증가했다. 돼지고기의 올 8월 수입된 양은 2만2천626톤으로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9.0% 감소했으며 누계 대비 21.4% 줄었다. 국가별로는 미국산이 5천452톤 수입돼 전년대비 25.5% 감소했지만 가장 많은 양이 수입됐다.
한국축산식품학회장인 이성기 교수(강원대 동물생명과학대학)가 ‘닭고기와 계란의 과학’사진을 출간했다. ‘닭고기와 계란의 과학(유한문화사)’은 모든 양계인들을 위한 ‘교과서’다. 특히 닭고기와 계란의 독립적 특성에 대해 한 수 일러준다. 닭고기는 지방이 적고 단백질이 풍부한 식품이다. 계란 역시 콜레스테롤 때문에 오랜 기간 억울한 누명을 썼지만 영양가가 풍부하고 건강에 유익한 식품이다. 이에 이 책은 닭고기부분은 닭근육의 구조와 생리, 사후변화를 기술했고, 포장을 포함해 저장성을 증진하기 위한 방법, 국제화 시대에 닭고기의 할랄푸드에 대해서도 자세히 다뤘다. 계란의 경우 생산에서 수집, 처리, 가공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에서 품질과 위생수준을 높일 수 있는 선진국의 법규를 소개해 구체적으로 설명했다. 우리나라의 닭고기와 계란의 품질 등급을 소개하고 선진국의 차이점을 비교 분석했다. 축산업의 발달사에서 양계산업은 최첨단 산업으로 불리었다. 이 교수는 이에 따른 제도나 법규에 있어서 보완할 점이 많다고 판단, 미국과 유럽 등 사례를 들어 품질과 위생에 대한 정보를 소개하는데 공을 들였다. 과학용어는 한국식품과학회에서 편찬한 용어집에 따르고, 복합명사 역시 띄어쓰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