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김길호 기자] 경기도가 축산농가의 사료비 부담을 덜기 위해 해병대 제2사단, 김포시와 협력해 한강하구 자생 갈대 사료화 사업을 4년 만에 재개한다.
최근 잦은 강우로 인해 볏짚 건조와 수거가 어려워지면서 조사료(건초·볏짚 등) 확보가 크게 줄어든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조치다.
사업 대상은 김포시 하성면 일대 민간인통제선(민통선) 지역 약 17ha 규모로 약 425톤의 갈대가 수확될 것으로 예상된다. 경기도는 수확한 1천60롤의 갈대를 축산농가 80여 곳에 지원할 계획이다.
경기도는 지난 11일부터 갈대 수거 작업을 시작했으며, 2026년부터는 상·하반기(5월·9월) 연 2회 전 지역에 대한 수거를 허용할 방침이다. 작업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수확 장비에 추가 안전장치를 설치하고, 경계 지역 내에서는 군의 통제하에 작업이 이뤄지도록 했다.
경기도는 2013년 김포시 군부대 유휴지 야생풀이용 협약 체결 후 해병대 제2사단, 김포시, 한우협회와 함께 매년 2회 야생 갈대 수거 작업을 진행해왔다. 그러나 2021년 고양시 장항동에서 발생한 민간인 목함지뢰 사고 이후 군 경계 지역 안전 확보를 위해 민간인 출입이 제한되면서 사업이 중단된 바 있다.
올해 경기 북부지역은 쌀 수확기(9~10월) 중 27일간 이어진 비로 볏짚이 마르지 않아 수거율이 전년 대비 26% 감소했다. 이로 인해 조사료 가격이 급등하며 인근 한우 농가들은 사료 수급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해병대 제2사단은 이러한 문제 해결에 동참하기 위해 한강하구 경계 지역 내 자생 갈대의 민간 수거를 다시 허용하기로 했으며, 경기도는 사업 재개로 인근 축산농가의 사료비 부담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신종광 경기도 축산정책과장은 “군부대 협력으로 내년부터 김포시 한우 농가는 조사료 구입비 약 12억원을 절감할 수 있을 것”이라며 “유휴지를 지속 발굴해 국내산 조사료 자급률을 높여 나가겠다”고 말했다.
축산신문, CHUKSANNEW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