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5 (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양봉

이상기후 속 무너지는 꿀벌 생태계 보호를

극한 폭염에 여왕벌 산란력 저하…월동 대비 개체수 확보 비상
농업·산림업까지 연계, 서식환경 개선 등 생태계 복원대책 시급

[축산신문 전우중 기자]

 

기후변화에 따른 폭염과 폭우가 이어지면서 올 겨울나기에 대비한 양봉농가의 선제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이는 최근 들어 국내 양봉산업이 총체적인 위기에 놓여 있는 가운데 최근 이어지는 기록적인 국지성 호우에 살인적인 불볕더위가 장기간 더해지면서 양봉농가의 올해 겨울나기(월동)에 대비한 꿀벌 개체수 확보에 빨간불이 켜지면서 기후변화에 대한 예측과 대비의 중요성이 한층 더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꿀벌은 온도변화에 특히 민감한 곤충으로 체온 조절 능력이 제한적 이어서 외부 온도가 높을 때 체온이 급격히 상승함에 따라, 꿀벌 집단의 건강과 생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왕벌 산란력은 저하되어 겨울나기에 필요한 꿀벌 개체수 확보에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여왕벌의 산란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벌통의 직사광선을 피하고 벌통에 차양막 설치 또는 그늘진 곳에 배치, 통풍이 잘될 수 있도록 벌통 위치를 조정하는 것도 큰 도움이 된다. 이외도 충분한 물 공급 또한 중요하다.
그렇지 않아도 국내 양봉 현장에서는 꿀벌응애 퇴치와 꿀벌의 천적인 말벌과 끊임없는 사투를 벌이고 있는 가운데 단순한 기상 이변이 아닌 또 다른 기후 위기마저 갈수록 심화하고 있어 관련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특히 꿀벌은 기후와 온도변화에 매우 취약한 변온동물로 다른 동물에 비해 체구도 작은데다 먹이사슬의 최하위층에 속한다. 그럼에도불구하고 꿀벌은 양봉산물 생산 이외도 자연생태계 보전과 화분매개를 통한 농산물 생산량 증진에 지대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처럼 공익적 가치가 높은 꿀벌이 최근 이상기후와 서식지 파괴 등 여파로 생태계가 위협받아 식량부족 현상이 초래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점점 커지고 있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꿀벌 서식환경 조성을 통한 생태계 복원과 함께 양봉산업과 농업, 산림업까지 연계를 강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축산신문, CHUKSANNEWS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