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김수형 기자] 농촌 경영체의 디지털 플랫폼 활용 제고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확대되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원장 김홍상)은 지난 8일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농촌산업 활성화 방안 연구’를 통해 농촌산업 경영체와 수요자의 관점에서 디지털 플랫폼 활용 실태를 분석하고 농촌산업 경영체들의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연구를 진행한 농경연 허정회 연구위원은 “디지털 플랫폼의 활용과 관련한 정책 지원을 받은 경험이 있는 농촌산업 경영체는 약 8% 수준”이라며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는 시대적 흐름 속에서 농촌산업의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경영체들의 활용 수요가 높은 홍보와 마케팅 등에 디지털 플랫폼의 활용을 촉진하기 위핸 실태 진단과 개선 방안 도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농경연 연구진은 농촌산업 경영체 1천200개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경영체들의 제품이나 서비스 홍보를 위한 디지털 플랫폼 활용 실태를 조사했다. 그 결과 무려 79.1%의 경영체가 생산된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홍보를 위해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이 활용하는 디지털 플랫폼은 ‘인터넷 홈페이지(80.1%)’, ‘블로그(72.6%)’, ‘네이버 밴드(40.1%)’, ‘페이스북(28.5%)’ 순으로 조사됐다. 특히 이러한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홍보가 경영체의 매출에 도움이 된다는 답변도 78.7%로 대다수를 차지했다.
반면, 홍보 목적으로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하지 않는 경영체들은 ‘사업분야가 직접 판매나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아 홍보의 필요성이 적음(B2B 사업분야 등)’, ‘과거에 이용해본 경험이 없어서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홍보를 고려해본 적 없음’, ‘활용할 생각은 있으나 이용할 능력이 뒷받침되지 않아서’가 각각 27~29% 수준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향후 정책적 지원이 이루어질 경우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할 의향이 있는 경영체는 30.1%에 달했다.
농경연은 이번 연구를 통해 ▲정책 설계의 기반이 되는 기초실태조사 강화 ▲디지털 플랫폼 활용을 위한 농촌산업 경영체 역량 강화 ▲농촌 경영체들의 디지털 플랫폼 활용 제고를 위한 정책 지원 확대 ▲인플루언서의 전략적 육성 및 활용 ▲지역관광 정보 제공 플랫폼 개선 등 농촌산업 디지털 플랫폼 활용 제고를 위한 5가지 기본 방향을 제시했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