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축산신문 김수형 기자] 그동안 지역 내 애물단지로 여겨졌던 가축분뇨처리시설이 에너지를 생산하는 관광명소로 탈바꿈하게 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11일 올해 처음 도입하는 공공형 통합 바이오에너지화시설 사업의 첫 사업대상자로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JDC)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공공형 에너지화시설 사업은 지자체와 공공기관이 주도해 가축분뇨 등 유기성폐자원을 활용, 바이오에너지를 생산하고 공급하는 한편 그동안 가축분뇨 에너지화 확대에 걸림돌로 제기된 지역 주민 수용성 확보 문제 등을 해소하기 위해 올해 처음 도입되는 공공주도의 사업이다.
사업이 처음 추진된 지난 2007년부터 현재까지 주민의 반대로 인해 공동자원화시설 34개소가 사업을 포기한 사례가 있었지만 농식품부는 입지 갈등을 최소화하고 지역주민의 수용성을 강화하는 한편 농촌지역의 처리가 곤란한 다양한 유기성 폐자원의 적정 처리를 위해 공공 주도의 통합처리형 에너지화시설 사업대상자를 지난해 하반기부터 공모 및 평가를 거쳐 최종 선정했다.
국토교통부 산하 공공기관인 JDC(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는 그 동안 사업추진을 위해 제3차 제주국제자유도시 종합계획 내 ‘그린에너지파크조성사업’을 반영, 공공형 에너지화시설 추진 근거를 마련하고 관계기관과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등 꾸준히 준비해왔다.
이번 사업이 완료될 경우 JDC 그린에너지파크에는 연간 약 7만4천톤의 가축분뇨와 도축부산 폐기물 등 유기성폐자원을 처리해 4인 기준 1천800가구가 연간 사용할 수 있는 4천972Mw의 전기가 생산될 전망이다. 이를 통해 화석연료인 원유 4천767배럴을 대체할 수 있으며, 연간 온실가스 2천460톤CO2eq을 감축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전기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발전 폐열과 하루 20톤의 고체연료는 마을기업이 운영하는 스마트팜과 주민 편의시설 등에 공급되어 지역주민들의 생산비 절감은 물론 지역민의 마을 일자리 창출,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농업생산지구 등을 운영함으로써 기피시설로 인식되는 가축분뇨 관련 에너지화 시설을 관광 자원화해 나갈 계획이다.
제주도 관계자는 “바이오가스를 생산 및 활용하는 과정에서 온실가스 저감 및 화석연료 대체, 자원순환시설 운영에 따른 생산·부가가치 유발효과 등 연간 약 83억8천만원의 추가적인 경제적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했다.
농식품부 박범수 축산정책국장은 “주민 상생을 위한 공공주도의 첫 번째 사업인 만큼 재정적‧기술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며 “지역민과 환경이 공존하는 지속가능한 축산을 위해 앞으로도 공공주도 가축분뇨 에너지화시설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