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이일호 기자]
노동력 절감 등 효과…DB 인프라 구축은 기대이하
현장에선 투자 효과 부정적 시각도…보완 대책 필요
정부의 ICT 융복합 지원사업이 당초 취지에 부합되기 위해서는 축산 현장의 데이터 수집 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보완 대책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는 ‘기후위기 스마트축산-축산의 미래’를 주제로 지난 7~8일 충북대학교 농업생명대학 첨단바이오 연구센터에서 개최된 ‘2021년 한국축산학회 종합심포지엄’<사진>에서 지적됐다.
이날 심포지엄에서 ‘축산ICT 장비보급 현황 및 기술동향’을 주제로 발표에 나선 (주)호현에프앤씨 이성호 대표는 지난 2014년부터 이뤄져온 정부의 축산ICT 융복합 지원사업과 함께 축산현장에 도입된 ICT 장비별 운영 성과와 문제점을 자세히 설명했다.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이하 농정원) 출신의 이성호 대표는 현재 ICT 기술 및 장비 관련 컨설팅 전문기업을 운영하고 있다.
이성호 대표는 “ICT 장비를 도입한 축산농가 대부분 자동화에 따른 노동력과 인건비 절감 효과를 거두고 있다”면서도 “다만 축산현장에서 이들 장비를 활용한 데이터 수집이 원활치 않은게 현실”이라고 분석했다.
이성호 대표에 따르면 축산농가들의 ICT 장비에 대한 이해가 다소 부족할 뿐 만 아니라 각 장비간 호환성이 떨어지거나 데이터 확보와 송출을 위한 센싱 기술 및 프로그램 개발이 부진, 데이터 수집에 애로를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성호 대표는 “일부 장비의 경우 데이터 수집을 위한 별도의 고가 장비가 필수적이지만 농가들이 구입을 꺼리고 있는 현실도 문제”라며 “ICT 장비를 통해 얻어지는 기초 데이터가 부족하다 보니 데이터 분석 과정을 거쳐 농가에 제공하고 활용할 최종 데이터 역시 마땅치 않다”고 밝혔다. 이는 ICT 기술과 장비 도입에 대한 현장의 부정적 시각을 불러오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는 분석이다. 경제성을 이유로 수집된 데이터를 적용할 알고리즘 개발도 부진한 것으로 알려졌다.
심포지엄에 참석한 축산학계 인사들은 정부 지원 사업의 근본적인 개선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강원대학교 성경일 교수는 “데이터 수집 문제는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데이터 수집이 안되는 경우 페널티를 부과하는 등 정부지원사업에 대한 후속관리를 대폭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서울대학교 김유용 교수도 “이대로라면 ICT 장비도입 농가들의 채무부담만 상승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며 “얼마나 많은 데이터가 ICT 장비를 통해 수집돼 활용됐고, 생산성에는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꼼꼼히 검증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실질적으로 데이터수집과 활용을 확대해 나갈 수 있도록 정부 지원 사업의 손질이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다.
건국대학교 이상락 교수는 이와 관련 “정부 지원이 장비 제공에만 초점이 맞춰진 결과다. 그러다보니 활용할 데이터가 없다”며 “정책입안자들이 책임을 지고 개선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