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기고>왜 희토류는 되고, 축산은 안되나?
지난 2023년 5월 27일, 한국이 참여하고 있는 미국 주도 경제협력체 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워크 회원국들은 공급망 협정에 합의하고, 반도체와 핵심광물 공급망에서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중국이 자원을 무기화할 경우 공동 대응할 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고 한다. 미국 행정부는 “희토류 원소 채굴은 국가 안보의 문제”라고 할 정도이다. 자원의 무기화를 걱정하면서 우리나라도 희토류 관련 많은 기사들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그 기술 과정과 내용을 보면 축산업에 대한 기사들과는 불편한 차별을 발견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글쓴이가 발견한 불편한 차별을 써보려고 한다 첨단산업의 비타민, 희토류 희토류는 원소기호 57번 란타늄부터 71번 루테튬까지 란탄계 15개와 화학적 특성이 유사한 21번 스칸듐, 39번 이트륨을 포함한 17개 원소들을 통틀어 말한다. 희토류 원소들은 높은 융점과 비중 높은 전도율과 열전도도를 가지고 있고, 상대적으로 좋은 화학적, 전기적, 자성적, 발광적 성질을 갖는다. 이러한 특성으로 매연필터, 컴퓨터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휴대폰 카메라, 액정, 이동식 x-ray, 발광다이오드(LED), 광섬유, 정밀유도탄과 첩보위성 등 광범위하 게 사
- 강원대학교 박규현 교수
- 2023-09-12 13: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