닭고기 공급량 증가·소비 부진으로 시세 약세
종계 분양 감소 영향, 4분기 병아리 가격 강세 예상
지난달 육계시장 리뷰
2025년 7월 육계공급량은 전년동월 대비 0.6% 증가한 7천479만수로(전년동기간 7천434만수)집계되었다. 육계 공급량은 7월의 경우 생산 및 폐수 배출 역량으로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8월 공급량은 전년동월 대비 약 2.5% 감소한 6천500만수 물량이 도축될 것으로 보인다. 8월의 경우 전년 동월대비 영업일수가 1일 감소, 영업일 기준 물량으로는 1% 이상 공급량이 증가한 것으로 파악된다.
8월 시세는 21일까지는 더위로 인한 증체지연으로 시세가 상승했으나, 이후 증체 개선 및 소비 감소로 생산원가 이하의 시세가 형성됐다.
전년 추석이 9월인 점을 감안해, 올해 9월 육계 공급량은 전년대비 영업일수가 4일이 증가해 약 12%~15% 공급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9월은 닭고기 소비가 비수기인 만큼 시세 또한 약세가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병아리 유통시세는 8월 500원/수로 형성되었지만, 9월 중순이후 업체별 병아리 과부족으로 병아리 구매가 발생되면서 시세가 상승, 연말까지 생산원가를 웃도는 시세가 형성될 것으로 보인다.
종란 재고가 현재는 여유가 있지만 2025년 1/4분기 육용종계 분양이 141만수로 전년, 전전년 동기간(전년 164만수, 전전년 171만수) 대비 14.3%, 17.5% 감소 분양했기에 9월부터는 업체별로 종란 재고량 부족 및 병아리 부족 현상이 예측된다.
중기 시황예측
2025년 7월 육용종계 분양은 53만8천수로 전년동월 대비 4.9% 감소한(전년동월 56만6천수) 물량이 분양됐다.(자료참고 : 육용종계 입식수수의 변화)
7월 누계 종계 분양수는 401만수로 전년동월대비 6.9% 감소, 전전년동월대비 4% 감소한(전년동월 431만수, 전전년동월 418만수) 물량이다.
3/4분기 종계 분양물량은 원종계 도태문제가 발생되면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고, 8월의 경우 47만5천수로 전년동월대비 20%감소(전년동월 59만3천수)한 물량이 분양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또한 9월~10월 전년동월 대비 종계 분양이 원활하지 못해 2026년 1/4분기 이후부터 병아리 부족현상이 발생될 것으로 예측된다.
7월 육용종계 배합사료는 2만5천톤으로 전년동월과 비슷한 물량이 공급됐다.(전년동월 2만5천톤)
추석물량 입란에 따른 종란 재고가 증가하면서 자연적으로 도태물량이 증가, 종계 사료량은 안정화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4/4분기 병아리 시세 상승 예상에 따른 환우 진행 및 도태량이 감소하면서 9월 종계사료 생산량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4/4분기 병아리 시세의 강세가 예상되지만 육계는 소비가 살아나지 못하면서 반대되는 시장상황이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그런 연유로 병아리 시세의 큰 폭 상승은 각 계열회사의 경영부담으로 돌아오는 바, 적정한 시세 유지 및 수급조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참프레 경영기획실 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