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병원성 AI 발생 차단 농장 단위 철통방역 총력을
사육마릿수 증가 대비 적정마릿수 유지 긴요
◆ 동향
10월의 계란 흐름은 비교적 보합세로 마무리 되었다. 10월은 2번의 가격변동이 있었고 가격 폭은 품목별 고르게 인상되었다.
첫 번째(10월 16일)는 왕란은 3원 인하, 대란은 8원 인상되었고 두 번째(10월 24일)은 중·소란이 각각 10원이 인상되었다. 큰 알은 생산성 회복에 따른 생산량이 증가하였고 대란은 행사로 인한 수요증가와 특란과 가격차이를 좁히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중·소란은 대란과의 가격 차이를 좁히기 위함이다.
9월 산란성계 도태는 418만7천수로 400만수 이상 도태되었고 일부는 환우에 돌입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추석이후의 난가 하락의 전망에 따라 대부분의 농가는 자체 수급조절을 한 것으로 보인다. 아직 일부에서는 생산성이 회복되지 않거나 생산량 자체가 평년대비 하락한 상황이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통계청에서 24년 3분기 가축동향을 발표하였다.
산란계 사육마릿수는 8천54만5천수로 전년동기대비 5.8%(7천612만6천수) 증가하였고 전분기 대비 3.0%(7천822만5천수) 증가하였다. 이는 계란가격 상승에 따른 병아리 입식물량(1∼6월) 증가로 3∼6개월 미만, 6개월 이상 마릿수가 각각 증가한 것으로 판단했다. 특이할 만한 사항은 3∼6개월 미만이 전년대비 11.7% 증가하였고 6개월령이상도 6.6%나 증가한 상황이다.
◆ 자료분석
9월 산란종계 입식은 5만3천수로 전년대비(1만수) 430% 증가하였고 전월대비(8만9천700수) 40.9% 감소하였다.
산란계 병아리 판매수는 413만수로 전월대비(470만3수) 12.2% 감소, 전년대비(447만1천수) 7.6% 감소하였다.
육추 사료 생산실적은 3만154톤으로 전월대비(3만258톤) 0.3% 감소, 전년대비(3만1천905톤) 5.5% 감소하였고, 산란계 사료는 22만5천568톤으로 전월대비(22만6천569톤) 0.4% 감소, 전년대비(22만683톤) 2.2% 증가하였다.
산란노계 도축실적은 418만7천수로 전월대비(255만4천수) 63.9% 증가, 전년대비(283만6천수) 47.6% 증가하였다. 전국 계란(특란/10개) 평균가격은 1천756원으로 전월대비(1천683원) 4.3% 상승, 전년대비(1천806원) 2.8% 하락하였다.
◆ 전 망
11월은 대표적인 계란 비수요기이다. 특별한 소비 이슈는 없지만 가정식 소비가 많은 달이다.
최근 들어 사육마릿수 대비 계란생산량도 어느 정도 증가한 상황에서 계란소비도 동반 상승한 것으로 보인다.
전체적으로 봤을 때는 계란의 소비량은 증가한 상황이고 타 농산물의 가격 상승으로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계란의 소비가 증가한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10월 산란성계 도축실적도 기대보다 낮을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한 가운데 고병원성 AI라는 기대심리가 작용할 수 있다는 반론도 있다.
지난 10월 중순 국내 야생조류에서 고병원성 AI가 검출되었을 때 유통에서는 발 빠른 움직임이 있었다. 혹시나 하는 상황속에 계란을 우선 확보하려는 움직임이 조금씩 있었고 일본에서 농장 발생 소식이 전해지면서 분주해지기 시작했다.
계란 소비 측면보다는 언제 어디서든지 농장 발생에 따른 계란확보가 우선시 되는 상황이다. 하지만 정부의 올해 동절기 방역대책은 예전같이 무조건적인 살처분은 지양하고 있다는 것이다. 살처분을 최소화하고 예방에 초점을 두고 있어 예전의 계란 부족사태는 없을 것으로 보이고 만일 대형농장에서 AI가 발생하더라도 일시적인 부족 현상만 나타날 것이다.
<대한산란계협회 총괄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