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취와 전쟁, 이겨야 산다>GKMC / 고액분리기·액비발효기

  • 등록 2016.02.11 10:12:34
크게보기

무약품 쾌속산화 방식…냄새없이 축분 자원화

[축산신문 박윤만 기자]

 

순환처리공정으로 냄새 차단…1일 10톤 처리
기존 탱크 활용 시공 간편…공동자원화 새 장

 

무악취를 지향하는 GKMC(대표 박현석)는 악취를 저감하고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특허 받은 밀폐형 2차 고액분리기, 쾌속액비발효 제조기 등을 주력 제품으로 악취에 관한 문제를 해소하고 고품질의 액비를 생산하고 있다.
GKMC에서 개발 공급 중인 쾌속발효 액비제조기(특허 제 10-1049302호, 제10-1155650호, 제10-1232300호, 제10-1204506호)는 축산분뇨 처리과정에서 미숙성 액비의 대기 중 노출을 차단하여 악취를 원천 해결하고, 밀폐형 부식 발효로 악취를 줄일 수 있는 대안이라는 것이 회사 측의 설명이다.
장비의 특장점은 기존 액비제조기와 달리 하향식 반복 압축분사방식을 도입하고 폭기조의 구조를 활용한 침전물 제거와 무약품 강제 산화 방식의 무악취 지향과 고품질의 액비를 생산하고 있다.
뇨액에 산소를 순간 과포화 공급시켜 뇨액의 호기성화로 SS(고형물) 2만PPM 농도를 24시간 내 악취제거와 부숙이 완료된 완숙액비으로 발효시킨다. 이는 최근 농림축산식품부에서 현장에 공급중인 부숙도 판정기를 통해 증명됐다.
현재 가동중인 전남 곡성과 영암, 보성은 폭기 과정에 악취를 느끼지 못해 견학 온 농장 관계자들로부터 뜨거운 반응 얻고 있다. 이는 탈취장치와 제어반을 독립적으로 구상하여 별도의 탈취장치 없이 악취를 저감하고 고품질 액비를 만들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는 순환식 처리공법으로 폭기조 내 구조변경을 통한 침전물 제거방식과 순환식 처리공정으로 24시간 내 10톤 가량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올인 올아웃 방식을 채택해 농장에서 1일 5톤 또는 10톤의 뇨액을 투입해 1일 5톤 또는 10톤의 액비를 배출, 농장 규모별 맞춤처리와 농장에 이미 설치된 저장조도 활용이 가능하며 공동자원화 시설 개보수에도 설치가 가능하다.
폭기 과정에서 발생되는 거품은 자체 탱크 내에서 분사되는 처리액으로 파쇄 된다.
발효된 액비는 액비 저장조에서 2~3일 교반하여 휘발성 가스를 제거한 후 완숙액비로 사용 할 수 있다.
무약품 강제순환방식으로 시설과 처리 시공 간편화를 위해 탈취장치 및 제어반을 독립적으로 구성하고 이동형 기계식 폭기장치를 부착했다.
폭기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는 배출공기와 신선한 공기와 접촉하기 이전에 액비로 배출공기를 접촉해 대부분의 수용성인 악취가 뇨액에 흡수, 다시 탱크내로 용해돼 순환하도록 해 악취 문제를 해결했다.
전남 영암군 미암면 춘동리에서 양돈 1천700마리를 사육하고 있는 미암농장 이준식 대표는 액비탱크 1천200톤에 쾌속발효 액비제조기를 설치하여 악취에 대한 민원해소와 고품질의 액비를 생산하고 있다.
쾌속발효액비제조기 장치를 개발 공급중인 박현석 사장은 “악취 민원과 축산현장의 냄새를 저감시키려는 축산인의 노력이 눈물겹다”면서 저렴한 비용으로 해결하는데 초점을 맞추어 개발했다고 말하고 있다.
농장이 대부분 교통이 불편한 지역에 위치해 있어 무약품, 무첨가제로 액비를 제조할 수 있는 시스템인 만큼 기존 사용농가에서 ‘굿’이라고 평판을 들을 때 자긍심을 느낀다는 박 사장.
GKMC는 밀폐형 2단 고액분리기 (특허제 10-1347874)도 개발 공급하고 있다. 악취를 저감하기 위해 밀폐형에 진동스크린의 단점이었던 미세분과 함수율을 해결하고 장점인 저동력과 무약주 고액분리기로 최종 스크류로 고형분 함수율을 낮춘 것이 특징이다.
이 장비의 또 따른 특징은 밀폐로 악취확산 방지와 기존 고액분리기의 높은 함수율을 해결(스크류탈수기 도입), 동일 동력을 활용한 2단분리방식(상·하스크린 배열), 스크린의 선택 폭이 넓고, 스크린의 탈부착이 용이, 교체비용 저렴, 미립자 제거효과가 탁월하다는 것이다.

박윤만 qkrdbsaks@hanmail.net
당사의 허락없이 본 기사와 사진의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주소 :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부순환로 1962. 6층 (우편번호:08793)
대표전화 : 02) 871-9561 /E-mail : jhleeadt@hanmail.net
Copyright ⓒ 2007 축산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