ㅣ포커스ㅣ 돼지고기 소비 형태 및 인식수준에 관한 연구 축산과학원

  • 등록 2014.07.07 12:52:11
크게보기

 

농진청에서 최근 축산물 소비 트렌드를 발표해 눈길을 끌었다. 이와 관련, 돼지고기 소비 행태 및 인식에 관한 연구(축산과학원 서동균, 최현호, 천동원, 송용섭 공동연구)를 자세히 소개, 독자들의 이해를 돕고자 한다. 축산경영학회에서도 소개된 연구 논문의 요약 및 결론 부분을 옮긴다.

 

돼지고기 구입 가격 부담커…적정 가격 1천760원대 인식

 

라이프스타일로 본 소비, 연령 높을수록 품질 중시
가공식품 첨가제가 관건…브랜드육 원산지 신뢰
소비자 요구 부응 타깃마케팅…소포장 유통 필요


가정 내 소비 주3회 이상 24.7%
우리나라 양돈산업의 발전과 돼지 사육농가의 소득증진과 소비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 돼지고기 소비 시장의 소비 행태에 대한 정보는 필수불가결하다고 할 수 있다. 소비 시장에서의 소비 성향을 파악하기 위해 돼지고기 소비자의 인식도, 선호도, 만족도 및 향후 소비 의향, 개선점등을 수집, 분석하였다. 가정 내 소비 성향을 분석하기 위해 돼지고기 소비 행태에서 중요 역할을 하는 주부 500명의 면접 설문과 1인 가구 117명, 가정 외 외식소비를 추정하기 위해 500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조사를 실시했다.
돼지고기 소비와 관련된 조사에 대한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정 내 소비에서 주 3회 이상 취식하는 애호가층은 응답 가구의 24.7%이며, 국내산과 수입산 돼지고기 소비 비율은 국내산이 78.7%로 수입산 21.2%보다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가공식품 구입은 3개월 기준 3.19회 구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돼지고기 1인당 소비량은 21.87kg으로 통계 추정치 20.8kg보다 약간 높게 추정됐다.
가정내 부위별 소비량은 부위별에서는 삼겹살이 15.5kg으로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며, 목심(살) 11.31kg, 앞다리·뒷다리(살) 10.58kg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1인 가구도 삼겹살 소비 비중이 32.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가정 외 외식에서 김치찌개 취식 경험이 64.4%로 제일 많았고 돈까스, 탕수육, 감자탕 순으로 나타났다. 돼지고기 소비량은 전년 대비 국내산, 수입산 모두 증가 경향을 보였다.

 

20대 이상 남성 삼겹살 압도적 선호
부위별로 보면 삼겹살, 목심, 앞다리·뒷다리, 등심·안심의 소비 의향이 높으나, 갈비, 가공식품 등은 감소 의향이 높았고, 향후에도 저지방 부위보다는 삼겹살, 목심 위주로 소비 증가가 예상됐다. 또한 모든 계층에서 삼겹살을 가장 선호하고 있었고, 20대 이상 성인 남자의 경우 삼겹살에 대한 선호도가 압도적으로 나타난 반면, 삼겹살 이외 여성의 경우 목심, 갈비살에 대한 선호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등심·안심과 가공식품은 초등학생 이하 층에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요리 용도별 소비 의향에서 구이가 제일 큰 것을 반영하고 있다. 돼지고기 구입장소는 대형 할인점, 정육점, 농협마트 순이었다.
국내산 냉장 삼겹살 100g당 체감 가격대로는 평균 2천110원까지 구입할 수 있고, 가장 최적인 가격을 1천760원대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됐다.
브랜드 돼지고기 구입 이유로는 원산지에 대한 신뢰가 29.8%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맛이 좋음 14.6%, 위생적으로 관리 11%순으로 나타났다.
라이프스타일로 분류한 소비 집단별 특성을 보면 품질중시형 19.9%, 무관심 층 23.7%, 식도락층 26.1%로 나타났으며, 대중소비 층은 30.2%로 추정됐다.
이중에서 품질 중시형, 무관심층은 상대적으로 연령이 높은 반면 식도락층의 대중 소비층은 연령이 보다 낮고, 소득이 높은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품질을 중요시하는 집단은 보다 연령이 높으나 돼지고기를 즐겨 먹는 층은 주로 젊은 층인 것을 반영해 주고 있다.
국내산 돼지고기 구입시 개선사항으로 가격 측면이 제일 크고, 그 외 지방의 두께(양), 신선도(위생상태), 도축일자와 고기 맛·육질은 지속적으로 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돼지고기 가공식품 구입시 개선사항으로 첨가제가 중요도 대비 불만족 정도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 장애 위해성>가격>품질 순
돼지고기 소비 장애 요인으로 건강 위해성>가격>품질 순이며, 식도락층과 대중소비층에서 장애요인을 많이 느끼고 있었다.
돼지고기 품질 개선을 위해서 위생관리 개선, 신선, 청결을 위한 포장 방식 유통, 정확한 등급 판단 정보 등이 제안됐다.
건강 문제와 관련하여 친환경 축산, 얇은 등지방 두께, 기능성 돼지고기 생산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 결과에서 나타난 부위별 선호도에서 저지방 부위 선호도가 낮게 나타났다. 이것은 국내 양돈산업의 문제점으로 즉, 구이 부위만 선호하는 소비자의 편중 소비 성향에 따라 발생하는 선호·비선호 부위간의 수급 불균형 문제가 반드시 해소돼야 한다.
저지방 부분육 신규 수요 창출을 가장 우선적으로 저지방 부위가 건강 적합성과 가격 경쟁력을 지니고 있으며, 저지방 부위를 이용한 다양한 제품과 간편한 요리법 등이 개발 보급 홍보 된다면 수급 불균현 문제는 어느정도 완화될 것이다.
또한 부위별 수급불균형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최근에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는 FTA협상과 위생 문제 해결, 상대국의 소비 문화등을 고려하여 저지방 부위를 선호하는 국가로의 수출 판로 확대 방안을 적극 모색 할 필요가 있다.
한국의 양돈산업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소비자 요구에 부응하는 타깃마케팅이 필요하다. 이에 대한 선결과제로 신선육 공급 시스템 구축, 유통기한 단축, 이력추적제, HACCP, 우수 브랜드 육성 확대, 원산지 표시제 정착, 부분육 및 소포장 유통 등이 정착돼야 할 것이다. 


당사의 허락없이 본 기사와 사진의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주소 :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부순환로 1962. 6층 (우편번호:08793)
대표전화 : 02) 871-9561 /E-mail : jhleeadt@hanmail.net
Copyright ⓒ 2007 축산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