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처가 너무 컸던 탓일까. 이번 FMD 백신접종 청정국 지위획득이 주는 감회는 남다르다.
지난 FMD를 돌이켜보면 FMD는 엄청난 속도로 퍼져나갔고 잘 다지고 있던 우리 축산업 기반을 뭉개트려 버렸다.
급기야 백신접종이라는 극약처방이 내려졌고 그 이후에는 허가제, 스탠드스틸, GPS 등 축산인들이 감당하기 어려울 정도의 고강도 후속조치가 따랐다.
우리 축산인들은 이러한 고난을 잘 이겨냈고 FMD 재발을 막아냈다. 결국 청정국 지위획득이라는 열매를 따냈다.
청정국 지위획득은 우리 축산인에게 “앞으로 더 잘하라”고 하는 격려의 상장과 같다.
우선 축산물 수출기회를 챙겼고 축산물 수입을 막을 명분을 얻었다.
이를 통해서 우수축산물을 생산해 외국으로 수출해야 하고, 또한 수입산과 경쟁해서 소비자 사랑을 더 많이 이끌어내야 한다.
더 중요한 것은 질병에 대해 자신감을 회복했다는 거다. “제일 무섭고 까다로운 FMD도 떨쳐냈는데”라는 자긍심을 갖고 다른 질병 역시 넘어서야 한다.
계속 늘고만 있는 질병홍수를 한탄만 해서는 안된다. 따지고 보면 FMD 역시 원래는 이 땅에 없었다.
당장 브루셀라, 돼지열병, 소결핵 등을 수년내 몰아내겠다는 게 우리 목표다.
FMD 또한 백신접종 청정국 지위획득에 멈출 수 없다. 백신미접종 청정국 지위획득이라는 과제가 남아있다.
물론 이러한 질병청정화는 쉽지 않다. 어쩌면 이번 FMD 백신접종 청정국 지위획득보다 더 어려울 수 있다.
인근 국가는 여전히 바이러스가 들끓고 있고 해외여행, 외국인근로자 등 해외교류를 통해 국내에 유입될 여지가 많다.
하지만 이번 청정국 지위획득 과정에서 우리 축산인은 “결코 못할 일이 아니다”라고 생각하게 됐다. 다시 방역고삐를 꽉 움켜줘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