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당수 지자체 한정적 예산 운용
다른 제품 수요 상대적 위축 불가피
면역증강제·환경개선제·구충제 등
관납비중 커 매출 타격 전전긍긍
이번 고병원성 AI 발생에 따른 소독제 쏠림이 다른 지자체 관납 제품에 악영향을 줄까 관련업체들이 노심초사 하고 있다.
지자체마다 상황이 다르기는 하지만, 많은 지자체들이 한정된 예산 속에서 소독제, 면역증강제, 환경개선제, 구충제 등 관납사업을 함께 운영하고 있어서다.
이 때문에 소독제에게 예산사용이 몰리면, 상대적으로 다른 관납제품 수요는 소홀해질 수 밖에 없다. 게다가 살처분 보상에 들어가는 지자체 비용부담도 만만치 않아, 지자체가 긴축재정으로 돌아선다면 관납사업이 전반적으로 위축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특히 면역증강제, 환경개선제, 구충제 등은 지자체 관납 비중이 워낙 커서, 여기에서 한해 장사가 좌우되고는 한다. 지난 FMD 때에도 이러한 양상이 전개돼 관련 업체들이 매출하락에 긴 한숨을 내쉬어야 했다.
이에 따라 업계는 지자체가 긴급방역 항목 등 특별예산을 통해 소독제 예산을 따로 잡고, 관납사업은 기존 계획대로 진행했으면 하는 바람을 전하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관납사업을 수정할 정도는 아니라고 본다. 하지만 고병원성 AI가 확산되면, 그 불똥이 이리저리 튀게 된다”라며, 관납사업 정상화를 위해서라도 하루빨리 고병원성 AI가 종식돼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