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상반기 구제역이 일본 섬나라를 덮쳤다. 4월부터 7월까지 세달간 일본 축산산업을 흔들었다. 3월 25일 미야자키현에서 구제역 첫 의심신고가 접수됐지만, 당국이 이를 묵살한 것이 확산단초를 제공했다. 2차 신고가 접수된 4월 9일에서야 조사에 들어갔고, 4월 20일 양성 확진판정을 내렸다. 신고 묵살 한달간 방역 공백…28만8천여두 매몰 5천억 피해 방역대 10㎞부터 백신 후 살처분…청정국 지위 회복 눈앞 결국, 한달 사이 방역공백이 생겼다. 아무런 손도 쓰지 못하고, 미야자키현에는 구제역 바이러스가 퍼져버렸다. 초동대응 미흡이 화를 키웠다. 이후 7월 5일까지 미야자키현에서 총 292건이 나왔다. 구체적으로는 고유군 274건, 사이토시 8건, 에비노시 4건, 미야자키시 3건, 기타 3건 등이다. 감염 또는 의심동물은 21만1천608두에 달했다. 이중 돼지는 17만4천132두였고, 소는 3만7천412두, 물소 42두, 염소 14두, 양 8두 등이었다. 이 가축들은 살처분 조치됐다. 보상액은 월령, 혈통, 능력, 품종 등 고려해서 결정됐다. 일본 방역당국은 처음에는 발생농장만 살처분을 했다. 하지만,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았고, 구제역은 확산기미를 보였다. 어쩔 수 없이 백신카드를 꺼냈다. 일본의 ‘구제역 방역 실시요령’에서는 이동제한만으로 확산방지가 어렵다고 판단될 경우, 예방접종이 가능토록 규정하고 있다. 당시 백신접종축은 모두 ‘살처분한다’는 전제를 달았다. 백신접종은 5월 22일 시작해서 26일까지 4일만에 끝냈다. 발생농장을 중심으로 해서 10km를 반경으로 했다. 백신접종 후 살처분된 가축은 소 4만5천944두, 돼지 7만9천606두, 기타 118두 등 총 12만5천668두였다. 이중에는 감염의심 4만8천796두가 포함돼 있다. 결국, 일본에서는 감염의심 21만1천608두, 예방접종 7만6천872두 등 28만8천480두가 매몰살처분됐다. 피해액은 350억엔(5천억원)으로 불어났다. 종합적으로 보면, 발생농가에서는 살처분 정책을 유지했고, 방역대(10km)에서부터는 백신 후 살처분 정책을 썼다. 일본 방역당국은 7월 27일, 살처분과 방역조치를 완료하고, 이동제한을 해제했다. 구제역은 미야자키현에서 마무리됐다. 일본은 막대한 돈을 들여서라도, 청정국 지위 회복을 선택했다. 세계동물보건기구(OIE)는 백신접종을 하고, 접종 축 살처분이 3개월 경과하면 청정국 지위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일본은 2011년 2~3월경 구제역 청정국 지위를 회복할 것으로 보인다.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