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도 저탄소 녹색성장 외면할 수 없어

  • 등록 2010.07.07 12:34:46
크게보기

■축산논단/ 온실가스 배출 감축 남의 일 아니다

 
채병조 교수(강원대 동물생명과학대)

축산에서 왜 저탄소 녹색성장인가? 이 질문에 의아해 하는 사람은 별로 없을 것이다. 지구온난화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2005년에 이미 선진국을 중심으로 온실가스 감축 의무를 규정한 교토의정서가 발표되었기 때문이다.

한국 의무감축국 편입 가능성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살펴보면, 세계 9위 수준이며, 교토의정서 1차 공약기간 마지막 해인 2012년 이후에는 의무감축국으로 편입될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총 배출량 규모를 보면 2005년에 CO2를 기준으로 5억 9100만 톤이며, 이중 농업부문 온실가스 발생량은 전체의 약 2.5%이다. 여기에서 축산업이 차지하는 비율은 탄산가스로 환산할 경우 약 18%를 차지한다고 한다. 또한, 가축에서 배출되는 메탄가스의 대부분은 반추동물에 의한 것으로 전체 메탄발생량의 약 85%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전체 사육두수를 생각하면 돼지와 닭 등 단위동물에서의 메탄가스 발생량도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며, 분뇨에 의한 배출량이 높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여기서 축산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서는 어떤 대책이 필요한지에 대해 알아보기로 하겠다.
첫째, 가축의 소화과정 및 분뇨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를 줄일 수 있는 사료생산 및 급여기술을 개발해야 한다. 장내 발효에서 기인되는 탄소발생량은 반추동물이 높고 단위동물은 상대적으로 낮다. 그래서 특히 반추동물 사료배합비를 작성할 때는 이점에 유의해야 한다. 단위동물, 즉 돼지 같은 경우 장내 발효에 의한 탄소발생량은 적지만 분뇨로 인해 발생하는 량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둘째, 온실가스 발생 저감형 사육 및 분뇨처리 시설을 갖추어야 한다. 사육시설도 온실가스 배출량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이를테면 돼지의 경우 돈사바닥, 즉 깔짚형태와 슬랏형태가 그렇고, 축사내의 온도나 분뇨의 저장기간에 따라서도 다르다. 또한 분뇨 저장 시 덮개의 유무에 따라서도 배출되는 량이 다르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축분뇨 자원화 시설 활성화

셋째, 축산분뇨를 이용한 바이오가스 생산시설을 적극 도입해야 한다. 우리나라는 오래전에 돈분뇨를 이용하여 메탄가스 생산을 시도해 보았으나 실패했지만 근래 세계적인 추세에 따라 다시 시도되고 있다.
이것은 매우 바람직한 일로서 축산현장에서 발생되는 분뇨가 어쩌면 가장 효율적으로 처리 및 이용된다고 해야 할 것이다.
분뇨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뿐만 아니라 거기서 발생하는 에너지를 이용함으로서 일석이조의 효과가 있다. 축산분뇨를 처리할 길이 없어 해양배출을 해왔지만 이것은 절대적으로 잘못된 발상이다.
넷째, 미생물 바이오매스 생산을 서둘러야 한다. 요즘 국내외에서 미생물 바이오매스 생산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예를 들어 실내에서 미세조류를 배양하면 고영양물질 사료자원을 획득할 수 있다. 이것의 배양과정에서 공기 중 탄소를 저감시킬 수 있으며, 가축분뇨를 배지로 활용할 수도 있어 분뇨처리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가축 생산성 극대화해야

다섯째, 가축생산성을 극대화해야 한다. 축산농가에서 생산성을 올리는 것은 일차적으로 생산비 절감에 따른 수익성 증대효과가 크지만 이차적으로 보면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돼지를 예로 들어 보겠다.
A농장은 모돈 500두에 MSY(모돈 두당 비육돈 출하두수) 15두(평균수준)이고, B농장은 모돈 300두에 MSY 25두(최상위수준)라고 할 때 두농장의 MSY는 7,500두로서 동일하다. 이 경우 A농장이 B농장 수준으로 올라간다면 모돈을 200두 줄여도 된다. 모돈 200두 사육에 필요한 시설과 사료 및 거기에 따른 온실가스 발생량은 크지 않을수 없다. 비육돈에서도 일당증체량이 100g(570 → 670g) 증가하면 메탄발생량을 고기생산 1kg당 약 0.7g, 1kg 고기생산에 사료 100g을 줄이면 12g의 메탄발생량을 줄일 수 있다는 보고도 있다. 어느 축종이든지 생산성이 최대 관건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적은 마릿수 사육으로 많은 축산물을 얻어야 한다.

당사의 허락없이 본 기사와 사진의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주소 :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부순환로 1962. 6층 (우편번호:08793)
대표전화 : 02) 871-9561 /E-mail : jhleeadt@hanmail.net
Copyright ⓒ 2007 축산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