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창영 조합장(원주축협장)=과거 일선축협은 특수조합이란 위상으로 농협의 일원이었던 시기가 있었다. 당시 축협에 몸담았던 인사들은 한결같이 서러움을 많이 받았다고 술회한다. 통합이후 일선축협은 걱정이 태산이다. 일선축협이 모두 부실조합인것처럼 비쳐지고 있는것도 문제지만 중앙회의 축산기능이 갈수록 위축되는 느낌을 받기 때문이다. 일례를 들면 축산관련부서가 자꾸 왜소해지는 것이다. 축협도지회가 농협지역본부로 흡수되었으면 최소한 하나의 부서로는 존치되어야 할텐데 지금은 고작 부서의 한팀으로 격하됐다. 중앙회의 축산관련 기능을 대폭 확충해야 할 것이다. ▲전준화 조합장(나주축협)=어떤 조직에서든 조직의 꽃으로 불리는 자리나 사람이 있기 마련이다. 그런 맥락에서 볼 때 협동조합의 꽃은 일선조합이라고 봐야 할 것이다. 그러나 우리 협동조합의 현실은 일선조합이 꽃으로 불릴만한 위상을 갖고 있지 못하다. 일선조합이 협동조합조직의 꽃으로 불릴만한 위상을 갖게 될 때 농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담보할수 있다. 일선조합이 그러한 위상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모든 사업을 일선조합중심으로 끌고 나가야 한다고 믿는다. 따라서 개혁차원에서 중앙회가 수행중인 사업이나 기능을 회원조합으로 이관하는 문제를 전향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조근제 조합장(함안축협)=협동조합의 존재이유는 조합원에 대한 서비스 즉 봉사기능에서 찾아야 한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우리 협동조합은 외국의 협동조합에 비해 조합원과의 밀착정도가 뒤떨어지는게 엄연한 현실이다. 그것은 협동조합이 조합원이 필요로하는 서비스를 만족할만큼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일 것이다. 협동조합이 농촌사회를 이끌어가는 견인차로서, 농축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사업 및 지도기능 확충이 시급하다. 사업이나 지도기능의 확충은 전문화가 근간을 이뤄야 하는데 이는 일선조합이나 중앙회에 모두 해당된다.전문성없는 서비스로는 농축산업을 리드해나갈수 없다는 점에서 협동조합개혁은 전문성제고에 중점이 두어져야 한다. ▲한상우 조합장(가평축협)=흔히들 일선축협이 소외감을 느끼고 있다고 말한다. 불행하게도 사실이다. 축협의 소외감은 농협중앙회가 의도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환경에 기인하는 바도 크다. 일선축협이 숫자에서 밀리는데다 사실상의 흡수통합이기 때문에 스스로 위축감을 느끼며 작은것에서도 상처를 받게 되는 것이다. 통합중앙회내에서 축협출신 직원들이 느끼는 소외감이나 축산관련 기능의 축소, CI문제등이 소외감에 상승작용을 했다고도 볼수 있다. 일선축협이 소외감을 느끼지 않기 위해서는 축산업의 특성을 감안한 지도가 이뤄져야 한다. 축산업은 고도로 전문화된 산업이란 사실을 인식하길 기대한다. ▲심상홍대표(삼우축산 영농조합법인 대표)=일선 축협들이 활성화되고 양축농가를 위해 전념 할 수 있어야 한다. 농·축협통합이후 중앙단위는 기구가 축소되었고 조합원이 1천명이하인 조합이나 적자조합의 경우 합병문제와 축협사료공장 관련 문제 등이 해결되지 않고 있어 이로 인해 관련 축협 조합장들은 조합원을 위해 제 역할을 못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원래의 통합효과를 찾아볼 수 없다. 이렇게 되면 결국 축산인들의 피해로 이어질 수밖에 없어 조속한 시일내에 이런 문제들이 잘 마무리되어 축협이 양축농가를 위한 본연의 업무에 충실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김삼용진회장(한국낙농경영협의회·연산목장)=농·축협이 통합 된지 1년이 됐으나 농가 입장에서는 피부에 와 닿는게 없다. 왜냐하면 중앙회만 통합이 됐을 뿐 지역은 안되어 축협과 단위조합을 모두 이용중인 본인의 경우 통합에 따른 직·간접적인 이익이 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