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업 위기상황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 고유가, 고곡물가격 위기는 우리나라 축산인들만 느끼는 것은 아니다. 필자는 최근 유럽 및 미국의 양돈업자들의 수익상황을 조사한 바가 있다. 덴마크, 네덜란드, 미국 등에 있는 양돈농가 대부분도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었다. 급기야는 세계적인 양돈계열화 사업자인 미국의 Smithfield는 고가의 곡물가격을 견디지 못하고 모돈 사육두수를 줄이기로 결정했다. 여기서는 최근 미국의 National Pork Board에서 생산자들로 하여금 가축의 생산효율을 증진시키고, 비용을 절감함으로써 이와 같은 위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제안한 실제적인 실행방안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1)사료 가공 및 생산분야 첫째, 사료의 펠렛 품질을 높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사료 가루는 사료 허실의 주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펠렛의 품질을 개선시켜 가루 발생량을 줄인다면 사료의 이용성 및 사료 효율을 개선시키는 데 효율적이다. 물론 펠렛 사료를 선택할 경우에는 반드시 사료 효율을 감안한 경제성 분석을 실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최적의 생산성을 가지는 사료생산 설비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항상 균일한 입자도를 유지하기 위해 햄머밀의 햄머를 교체하거나 롤러밀의 롤러를 점검하는 것이 필요하다. 배합기의 경우 영양소가 제대로 배합되는지 확인하고 아울러 중량계를 수시로 교정하고 점검해 조금이라도 손실을 막아야 한다. 셋째, 사료 급이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 습식 급이는 분진으로 인한 사료 허실을 줄일 수 있다. 아울러 몇몇 경우에는 기호성을 증진시키고, 섭취량과 더불어 생산성을 향상시키기도 한다. 손상된 급이기는 바로 교체하거나 수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비용때문에 이를 방치할 경우 사료 허실, 생산성 저하로 인한 더 큰 낭패를 볼 수 있다. 2)사료 관리 첫째, 잠재적인 곰팡이 독소 오염에 대해 수시로 점검하고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곰팡이독소는 어떤 형태로든 오염이 되면 농장에 치명적인 타격을 주는 위험 물질이다. 혹자는 곰팡이 오염 및 곰팡이 독소의 생성이 사료 생산단계에서만 확실히 관리된다면, 농장 단위에서는 문제가 없을 수 없다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곰팡이는 수분 함량, 온도 및 산소 공급 등과 같은 적절한 조건만 형성되면 언제든지 사료와 농장을 오염시킬 수 있고, 곰팡이 독소와 같은 피해를 입힐 수 있다는 사실을 주지해야 한다. 둘째, 사료의 영양소 및 에너지 등에 대한 정확한 평가와 더불어 최소 배합비 개념을 철저히 이행해야 한다. 자칫 부적절한 사료 평가시스템은 사료 효율을 감소시키고, 오히려 사료 원가를 높이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효과적인 모델링을 통한 최소 배합비 설계는 사료 생산단계에서의 비용 절감은 물론이고 실제 농장 환경에서 오히려 가축의 생산성을 높이고, 수익성을 개선시키는 데 효율적이다. 셋째, 모돈 영양에 집중하라. 모돈 영양은 결과적으로 농장의 생산성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항목이다. 지금과 같은 축산의 위기 상황에서는 조금이라도 생산성을 올리고 수익을 개선시킬 수 있다면 당연히 실행하는 것이 맞다. 산차에 따른 개별 사양관리, 아연, 구리 등과 같은 미량 광물질 또한 모돈의 생산성을 유지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들이다. 넷째, 사료 섭취량, 음수 상태 등을 점검하는 것이 필요하다. 가축 개체에 대한 섭취량을 파악하는 것은 쉽지 않겠지만, 최소한 펜 당 사료 섭취량을 파악해야 사료의 허실, 건강 문제, 음수 품질, 환기 상황 등을 효과적으로 점검할 수 있다. 3) 사료 배합 첫째, DDGS 등 대체 원료 기용을 적극적으로 하라. 고곡물가격 시대에 있어 가격적으로 경쟁력있는 대체 원료의 적용은 매우 중요하다. 다만, 이들 대체 원료의 영양적 가치, 이용성 등에 대한 평가를 정확히 하고, 이에 대한 대응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자돈 사료에서의 전통적인 동물성 단백질 함량을 줄여라. 아울러 가축 사료에서의 에너지 및 아미노산의 요구량에 대한 재평가를 해야 할 필요가 있다. 전통적으로 단백질은 사료에서 가장 비싼 성분중의 하나였다. 하지만 최근 상황은 에너지가 단백질 비용을 추월했다. 사료 원료의 가격이 크게 변동된 만큼, 가축의 단백질 및 에너지 요구량을 재설정하고, 경제성 있는 가격으로 사료를 재설계할 필요가 있다. 셋째, 효소제의 적극적인 기용을 검토하라. 일부 효소제 제품들은 사료내에 적정한 수준으로 함유됐을 경우 사료효율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음이 확인됐다. 이들 효소제를 사용함으로써 가축의 성장률 및 사료효율을 조금이라도 개선시킨다면, 이는 실질적으로 엄청난 사료 비용 절감 및 수익개선의 결과로 돌아오게 된다. 지금이야 말로 사료 효율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킨다는 것이 확실히 입증되고 경제성 있는 가격으로 제시된다면, 가능한 효소제를 비롯한 첨가제를 사용해야할 시기라고 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