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는 우리민족과 애환을 함께하고 농촌 부의 상징으로 대접받으며 맥을 함께해 온 소중한 민족 유전자원이다. 최근 한미 FTA와 미국산 쇠고기 수입 협상 타결, 옥수수 가격의 급등으로 인한 배합사료값 인상여파 등 한우사육농가들의 근심이 크다. 가뜩이나 취약한 농촌산업 구조 속에 농촌의 핵심 소득원인 한우산업이 심각한 경영난을 겪으면서 장래를 걱정하는 모습에 안타까운 심정으로 우리나라의 한우 특히 ‘강원도 한우’를 지키고 다듬어서 강원도와 함께 발전해야 한다는 생각을 옮겼다. 강원도 한우는 산이 많고(81%), 밭이 논보다 많은 지형적 특성과 한우사육에 적합한 서늘한 고냉 기후조건의 영향으로 한우 골격이 크고 성장성이 우수하며 질병에 견디는 능력이 높아 가축시장에서 남부지역 한우보다 10~20만원 더 받고 거래되고 있다. 전국한우 챔피언 선발대회에 챔피언으로 등극(전국에 정액생산 공급)하는 등 우수성이 입증되었을 뿐만 아니라 강원도 인구수에 비해 전국에 점하는 비중이 가장 높은 소득 작목으로 도민소득과 직결되어 있어 강원축산정책의 중심에서 전략적으로 육성, 발전되어 왔다. 강원도 내에는 전국을 대표할 수 있는 6개의 명품한우브랜드가 소비자에게 사랑 받으며 다가가고 있다. 강원의 청정 이미지와 지역 특성을 잘 살리고, 우수한 한우 혈통을 개량 보전하여 송아지를 생산하며, 고급육 생산기술을 정착시키는데 노력한 결과 브랜드로서 품격 있는 맛을 만들어 낸 결과라고 본다. 명품브랜드가 생산되기까지의 과정을 보면 강원한우는 도내 전 지역 모든 농가가 브랜드사업에 참여할 수 있게 시스템이 갖추어져 있으며, 브랜드 대열에 참여하는 날부터 송아지의 생산과 이동의 신고는 물론 사료의 통일, 동일한 사양관리프로그램 적용, 거세와 우수한 송아지 생산을 위한 인공수정까지 브랜드 관리주체의 엄격한 통제 관리 하에 사육된다. 또한 대학과 연구기관의 장기적인 생산관리 컨설팅과 출하시기에 맞추어 고품질의 비육도 초음파 검사를 거처 완숙기(상강육)가 되어야 출하명령을 받고 지정된 축산물 작업장으로 출하하게 된다. 여기까지가 농가의 몫이며, 출하된 한우는 HACCP을 적용한 국내 최고의 위생설비를 갖춘 작업장에서 1등급이상의 등급판정 소에만 브랜드 이름을 부착하게 되며 판매경로마다 생산이력제의 추적관리 시스템 적용으로 누가, 어디서, 언제 생산한 상품임을 소비자가 구입 장소에서 확인할 수 있게 하는 등 생산에서부터 최종 소비단계까지 브랜드 관리주체와 지도부서, 행정기관이 유기적 협력으로 엄격한 통제 관리로 브랜드육이 탄생된다. 이 같은 노력으로 강원한우는 전국축산물브랜드 경진대회와 소비자단체 평가에서 2004년부터 횡성한우(2005년, 2007년)와 대관령한우(2004년, 2006년)가 4년 연속 대상의 영광을 차지하여 최고 명품한우로 입증됐다. 또 홍천 늘푸름 한우(2007년)는 품질과 안전성이 뛰어나 우수상을 수상했으며 하이록 한우 광역브랜드도 앞서가는 명품브랜드에 이어 소비자시민모임이 주관하는 우수축산물브랜드 인증을 획득한 바 있다. 소비자 선호도 조사에서 횡성한우가 가장 먹고 싶은 한우로 뽑히는 등 품질과 안전성에서 우수함이 입증되어 전국 최고의 브랜드로 자리매김 하고 있으며 생산지와 서울지역에 판매점과 전문음식점을 개설하고 판매활동에 주력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