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민병진 기자]
한국은 ‘우유 급식 축소’ 논란…“학생 선택권 확대가 대안
미국에서 학교급식에 전지방 우유(whole milk) 제공을 다시 허용하는 법안이 상원 통과를 앞두고 있다.
‘건강한 아이를 위한 전지방 우유법(Whole Milk for Healthy Kids Act)’은 지난해 하원에서 압도적인 찬성으로 통과된 데 이어, 상원에서도 초당적 지지를 얻으며 법제화가 임박한 것.
이 법안은 2010년 오바마 행정부 시절 학교에서 저지방(1%) 또는 무지방 우유만 제공하도록 한 규정을 완화하는 것이 핵심이다.
당시에는 아동 비만 억제를 목적으로 지방 함량이 낮은 우유만 허용됐으나, 최근 다수의 연구에서 전지방 우유가 비만율을 높이지 않으며 오히려 포만감 증가와 영양 균형 개선에 기여한다는 과학적 근거가 제시됐다.
당시 학교 현장에서도 학생들의 탈지 우유 비선호로 우유 섭취량은 급감했고, 우유 폐기율도 급식 우유의 41%가 버려지면서 급식 시 소비되지 못하는 칼로리 비율도 20%가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미 농무부(USDA) 산하 식품영양서비스(FNS)도 최근 보고서에서 지방 함량만으로 건강 여부를 단정하는 것은 시대착오적이라며 급식 기준의 재검토 필요성을 인정했다.
이같은 변화는 단순히 우유 한 잔의 문제가 아니라, 아동 영양정책이 과학적 근거에 따라 진화하고 있으며, 우유섭취의 중요성을 국가차원에서 인지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반면, 한국에서는 학생수 감소, 취약계층 학생들의 낙인효과, 백색시유 기피 현상, 행정의 비효율성 등을 이유로 학교우유급식률은 현재 30.9%에 머무르고 있으며, 최근 일부 영양교사들을 중심으로 학교우유급식을 지자체로 이관하거나 선택제로 전환하자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또, 서울시, 전라남도 등 일부 지자체는 예산을 투입해 무상 우유급식을 시행하고 있지만, 이는 일부 지역에 국한, 지역에 따라 큰 편차를 보이는 등 불균형을 이루고 있다.
학교우유급식은 성장기 아동에게 필요한 영양분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공영양정책이다. 영양 불균형이 심화되는 현실에서 우유의 역할을 축소하려는 국내 움직임이 미국의 영양학적 사실에 기반한 정책 설계와 미래 세대를 위한 식습관 교육 행보와 대조적이라는 지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 유럽 등 주요 낙농국들은 우유를 단순한 칼슘 공급원이 아닌 ‘완전식품’으로서의 의미로 다시 바라보고 있다. 미국처럼 과학적 데이터를 근거로 정책을 보완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우유를 배제하는 방향보다, 다양한 형태의 제품(저지방, 전지방, 락토프리 등)을 통해 학생 선택권을 넓히는 방식이 합리적”이라고 강조했다.
축산신문, CHUKSANNEW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