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하나로목장 전문가 상담실<81>

  • 등록 2025.10.15 11:14:47
크게보기

[축산신문]

 

Q. 출생한 송아지에게 진심 초유를 최대한 많이 먹이기 위해 2회 급여를 하고 있습니다. 이유는 면역 물질을 다량 흡수하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현재 진심 초유는 면역 물질이 20% 이상으로 되어있는데 30% 정도까지 스펙을 올려 제작할 수도 있지 않겠나 하고 생각됩니다. 현재 1.5리터의 물에 3봉지를 넣고 급이 하고 있습니다. 그 이상은 무리가 되지 않을까 하는 걱정에 초유의 스펙을 올리면 되지 않나 하는 생각을 해 봤습니다.
A. 김영준 수의사(농협한우개량사업소)
=현재 시판 중인 초유에 면역 물질은 20~25% 함유되어 있습니다. 초유는 면역 물질로서 100g 이상 급여해야 됩니다.

 

Q. 아버지와 함께 번식우를 키우고 있는데 새끼 빼고 2~3개월만 비육시키고 어미소를 바로 팔 수 있게 비육을 해 놓으셨는데 BCS가 전부 4~4.5는 되는 거 같습니다. BCS가 높아도 송아지 출산에는 문제가 없을까요?
A. 김덕임 박사(농협축산컨설턴트)
=최근 번식농가들이 다산보다는 2~3산 직후 비육 암소 출하가 대부분이기는 합니다. 좋은 송아지를 생산하고 싶으면 분만 후 이유 시까지 번식우 사양관리에 집중하는게 좋습니다. 뱃속에서도 유선의 발달 분만 후에도 유선의 발달이 좋아야 건강한 송아지 생산이 가능합니다. 특히 번식우의 과비로 인한 난산이 우려되기도 합니다. 우량암소의 조기출하가 이루어지면 우량송아지 생산은 불가합니다. 특히 4산 이후부터는 어미 포유능력이 뛰어나야 건강한 송아지 생산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납니다. 가급적 송아지 이유 후 비육을 권장하고 싶습니다.

 

Q. 송아지 출산 후 비칸톨 3cc 및 초유 급여하고 있는데 시중에 파는 분말 초유를 급여하는게 좋을까요? 젖소 초유를 급여하는게 좋을까요?
A. 김덕임 박사(농협축산컨설턴트)
=가급적 분말 초유 급여를 권합니다. 젖소농장에서의 초유는 편리하기는 한데 우결핵, 브루셀라 등과 같은 전염병 노출 우려가 있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부득이 젖소 초유를 먹여야 한다면 살균처리를 해서 급여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Q. 번식농장을 준비하면서 공부 중인 학생입니다. 일관사육을 하는 아버지 축사에서 일을 같이하면서 배우고 있는데요. 지금까지는 항상 자연발정 온 것만 발견하고 수정하는 식으로 했는데 공부를 하다 보니까 다른 분들은 호르몬제를 통해 공태기간을 줄이는 것 같더라구요. 아버지는 그런 것에 대해 약간 보수적이고 농장에 오는 수정사한테 물어봐도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는 대답을 들었습니다. 수정이 되면 좋은데 안될 시에 호르몬이 망가져서 발정주기가 아예 틀어질 수 있다는 식으로 말씀하시더라구요. 첫 번째 질문은 079 프로그램을 사용할 때 부작용은 없나요? 그리고 사용 시 수정률은 어떻게 되나요? 분만 전후 접종해야 하는 백신이라던가 영양제의 종류와 용량, 시기 등에 대해 궁금합니다. 수정란이식도 궁금한데 과정, 장단점, 비용도 알려주면 감사하겠습니다.
A. 김덕임 박사(농협축산컨설턴트)
=079 프로그램은 부작용보다는 번식관리가 조금은 수월한 편이라고 말해야 하나요. 최근 들어 유명한 정액 사용법으로 일시 다두 수정 기술에 많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부작용이라고 하면 호르몬에 의한 것이라면, 제 생각은 없는 쪽으로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한번 처리 해서 수정을 하게 되면 미임신축도 예정 재발정을 예측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두 번째 질문에 대해선 수정률은 1차 60%, 재발정 예정일을 놓치지 않아서 총 80%까지 기대된다고 합니다. 분만 전후에는 기본적으로 아까바네 설사 기관지 백신은 하면 좋고, 영양제로는 꾸준한 비타민 미네랄 급여를 하면 좋습니다. 개량하려면 우수한 수소의 정액을 활용하는 것과 같이 수정란은 우량암소를 이용한 개량법입니다. 다만 수소처럼 대량으로 생산하지만 암소는 수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우랑 종모우로 만들어진 opu 수정란이 가장 많이 보급되고 있습니다. 가격은 대략 한우개량사업소에서 25만원 정도 그 밖의 도 기술센터는 무상 혹은 일정 비용을 부담하기도 합니다.

<자료 : 농협경제지주>

축산신문, CHUKSANNEWS


당사의 허락없이 본 기사와 사진의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주소 :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부순환로 1962. 6층 (우편번호:08793)
대표전화 : 02) 871-9561 /E-mail : jhleeadt@hanmail.net
Copyright ⓒ 2007 축산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