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하나로목장 전문가 상담실<73>

  • 등록 2025.08.13 11:27:46
크게보기

[축산신문]

 

Q. 60일령 두 마리가 검정 물총 설사를 계속해요. 체온은 38.5도입니다. 어떻게 치료하나요? 젖 뗀 애들이고 밥은 잘 먹어요. 유산균 잘 먹이고 있는데, 물총 설사 쫙쫙 나오네요. 구충은 했습니다. 사료도 아주 잘 먹습니다. 하루 1kg 먹습니다.
A. 김영준 수의사(농협한우개량사업소)
=체온도 정상이고 활력도 정상으로 보입니다. 혈변이 아니어도 콕시듐 감염이 있습니다. 내부 구충 별개로 콕시듐 치료해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Q. 축협 TMR 급여 농가입니다. 빠른 비육을 위해 하루 TMR 10kg과 후레이크 3.5kg을 급여합니다. 이러한 방법으로 급여해도 괜찮을까요?
A. 김현진 박사(서울대)
=질의하신 내용만으로는 거세우의 개월령과 비육도, 축협 TMF에 대한 영양성분 및 조사료함량에 대한 정보가 없어 정확히 답변하기 어렵습니다. 다만 비육 전기, 비육 후기의 2단계 프로그램이라면 전기 약 15~16%, 후기 약 10~11%로 조사료 함유하고 수분 약 40%라 가정한다면 10kg 급여조건은 비육후기로 추측됩니다. 비육후기 단백질 요구량과 에너지, 조사료 요구량을 고려할 때 10kg으로는 조사료함량이 조금 부족합니다. 후레이크3.5kg 급여는 이전에 후레이크를 급여하지 않았다면 높은 수준으로 과산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TMF 12~13kg에 2~3kg의 후레이크 급여를 권장합니다. 물론 3.5kg 급여 시 과산증이 없고 비육도가 약간 부족하다면 급여가 가능합니다.

 

Q. 수정란을 만들 때 근교계수를 고려해 만드는지 궁금합니다. 농협한우개량사업소 계획교배에서 근교계수가 6.7정도 나왔는데, 이게 조기 난산이나 무항문으로 후대가 나오는 원인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A. 김덕임 박사(농협축산컨설턴트)
=농협한우개량사업소 수정란 생산은 첫째, 우수한 보증씨수소 생산을 목적으로 합니다. 처음에는 농가 수정란 판매가 주목적이 아니었습니다. 보증씨수소 생산은 개량을 최우선으로 하기 때문에 육종전문가의 계획교배로 근친계수뿐 아니라 농가 소득과 직결된 수정란을 만들고 있다고 보면 좋을 것 같아요. 둘째, 수란우와는 전혀 다른 의미입니다. 혹시나 해서 말씀드리면 수정란과 수란우의 근친은 전혀 관계없습니다. 흔히 말하는 일반농가 혹은 정상적인 교배조합도 아주 간혹 불량유전자 발현이 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체내 수정란보다는 체외수정란이 더 많아지고 있는 거 아시죠. 체외수정란을 만드는 과정은 인공배양액, 첨가물과 인위적인 합성 시약 등으로 인해 발생 과정 중 기형 등도 보고되고 있어요. 꼭 근친도에 의한 것 보다는 인위적 배양 등으로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일 수도 있습니다.

 

Q. 6개월령 세 마리가 체고가 층이 져서 사료를 TMF 3kg, 지대사료 1.5kg을 먹이고 있는데 사료량이 많은 걸까요? 한 마리 정도 설사하고 두 마리는 잘 크고 있는데 사료를 줄여야 할까요? 소화제랑 대두박 100g, 바이오 이렇게 먹이고 있는데 너무 많이 먹이는 걸까요? 혹시 과비일까요?
A. 김현진 박사(서울대)
=외관상 6개월령 암소라면 현재로는 과비로 판단되지는 않습니다. 다만 피하지방이 두꺼워지는 경향이 보여 에너지(TMF 또는 농후사료) 공급량을 약간 줄여주는 게 좋을 듯 합니다. 현재 상태로 지속한다면 첫 발정이 빠르게 오고 이후 체성장 지연으로 초산 시 체고가 낮고 유선조직에 지방 침착으로 포유능력이 낮아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추가로 조사료 급여를 어느 정도 하는지 언급이 없지만 조사료 급여량을 높여주면 될듯합니다. 대두박 100g은 높은 수준은 아니지만 급여 후 변이 묽다면 줄여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Q. 6개월령 송아지가 밥을 안 먹고 무기력하고 배가 빵빵합니다. 비대칭은 아니고 대칭으로 빵빵하고 청진해보니 위 운동이 없다고 합니다. 변은 염소똥처럼 누네요.
A. 김영준 수의사(농협한우개량사업소)
=배가 아래쪽으로 팽대되었는지 겸부 윗부분이 팽대되었는지요? 위 운동이 없다는 것은 1위 음이 소실되었다는 것 같습니다. 수의사 부르셔서 1위 운동성 증가를 위한 칼슘 수액 등을 하고, 양쪽 모두 팽대한 것 역시 수의사 진단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Q. 효모 발효과정에서 발생하는 효소가 무엇인지요? 효모의 종균에 따라서 효소의 종류도 달라지는지요? 효소의 발생을 증가시키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요?
A. 김현진 박사(서울대)
=효모는 발효과정에서 다양한 효소를 생산합니다. 주로 전분, 단백질, 지방 분해효소와 글루칸 분해효소 등 이당류 분해효소를 생산하며, 효모 종류에 따라 종류와 양은 다를 수 있습니다. 배양과정에서 호기 상태에서 주로 효소를 생산하고 산소가 없는 혐기 조건에서 주로 알콜을 생산합니다. 효모가 생육하는 최적의 조건 수분, 온도, pH, 영양분, 산소 유무 등이 중요하며, 효모 생산을 위해서는 위 조건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환경 제공이 중요합니다. 단순히 배양시간만 연장한다고 효소가 많이 생산되는 것은 아닙니다.
<자료 : 농협경제지주>
 

축산신문, CHUKSANNEWS


당사의 허락없이 본 기사와 사진의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주소 :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부순환로 1962. 6층 (우편번호:08793)
대표전화 : 02) 871-9561 /E-mail : jhleeadt@hanmail.net
Copyright ⓒ 2007 축산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