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브랜드 3개포함 총 139개 등록

  • 등록 2003.06.18 00:00:00
크게보기

일본의 화우 브랜드현황

최근 전남과 강원지역에서 한우 광역브랜드를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지난 12일 강원 홍천 문화예술회관에서 열린 '강원도 한우산업 경쟁력 제고 방안' 교육에서 홍덕표강원도청축산과장이 발표한 '강원도 한우의 광역브랜드화 방안'이 한우 농가들의 관심을 끌었다. 그 내용중 특히 홍과장이 인용해 발표한 강원대학교 고종태 교수의 '일본의 화우 브랜드 현황'을 발췌해 요약했다. <편집자>


일본의 화우 브랜드는 지난 2000년에 브랜드식육핸드북에서 조사한 바에 따르면 전국브랜드 3개를 포함해 139개의 브랜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에서 가장 유명한 브랜드는 고베비프, 마쓰사카비프, 오우미비프 등 3가지이며 모두 밑소는 다시마(효고현)송아지를 이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마에자와와 히다 소고기가 신흥브랜드로 급부상하고 있는 상황이다.
세계적으로 알려진 고베비프는 효고현을 대표하는 브랜드로 고베비프 유통추진협의회에서 지정한 정육점과 식육점을 통해 자체적으로 소비되고 일부가 동경지역으로 출하되고 있으나 물량은 소량에 불과한 실정이다. 고베비프는 생산에서 정액의 현외 반출을 원칙적으로 금지하고 현 외로부터의 반입도 금지하는 등 매우 배타적인 브랜드화 전략을 취하고 있다.
고베비프의 관리는 회원 생산자가 비육 밑소를 구입할 경우 농협직원의 입회 아래 효고현산 소라는 것을 확인하고 귀표를 표시하며 회원생산자는 출하 1개월 전에 협의회에 신청을 해야 한다. 협의회는 생산자에 대해 출하일과 출하장소를 지정하며 식육센타에서 협의회로부터 위촉된 화물회사원이 등기서와 이표를 확인한다. 일본식육등급협회원이 판정한 등급에 따라 위촉사원이 고베비프라고 도장을 찍으며 식육판매점은 고베비프증서를 점포에 게시한다. 또한 고베비프가 적정하게 취급되는지 모니터제도를 시행하며 위반이 발견될 경우 식육공정거래협의회의 규약에 의해 실행하고 있다.
판매점에 표시된 고베비프 증서에는 출하자와 비육우 등록번호, 취급화물회사명이 표기되어 있어 소비자는 안심하고 고베비프를 구입할 수 있다.
고베비프는 현에서 생산된 밑소를 비육해 현 내의 식육센터에 출하된 것 가운데 지육 육질등급이 12등급 중 7등급이상으로 엄격히 제한하고 있다.
고베비프유통추진협의회는 생산자와 식육판매점, 레스토랑에 대해 지정등록제를 시행하고 있으며 등록요건은 생산자의 경우 우수한 비육기술을 갖고 연간 3마리 이상의 고베육우를 출하할 수 있어야 하며, 식육판매점의 경우는 고베비프를 연간 12마리 이상을 판매해야 하며, 레스토랑은 우수한 기술을 갖고 있고 연간 720kg이상을 판매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런 기준을 충족하고 있는 회원은 지난 96년 현재 생산자 306농가, 식육판매점 291개소, 레스토랑 33개소이다.
신흥브랜드로 부상하고 있는 히다 소고기가 브랜드화사업으로 제일 먼저 추진한 것은 히다화우교배지침의 제정과 히다화우 생산협의회의 결성을 통해 화우 개량을 했다. 우량 종모우를 확보해 현의 기준에 적합한 암소와 지정교배를 통해 통일된 혈통의 송아지를 생산한다.
히다 소고기는 현 내에서 생산된 것 중 최상급(5등급)으로 판정된 것만으로 제한하며 이외의 등급은 히다 스테이크 소고기로 판매하고 있다.
히다 소고기는 연간 2천8백마리를 생산해 지역지정 218개의 판매점과 115개 레스토랑을 통해 소비되고 있다.
뉴스관리자 편집장
당사의 허락없이 본 기사와 사진의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주소 :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부순환로 1962. 6층 (우편번호:08793)
대표전화 : 02) 871-9561 /E-mail : jhleeadt@hanmail.net
Copyright ⓒ 2007 축산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