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력제
대다수 “축산물이력제 시행 잘한 일”
응답자 70% “조회는 하지 않아”
구매자 원산지 표시 매우 중시
정부차원 관리·감독 강화 필요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축산물이력제에 대해 이력번호를 확인해 관심도는 높지만 실제 조회는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교육중앙회(회장 주경순)는 지난해 10월 20일부터 28일까지 서울, 부산 등 전국 13개 지역에서 성인 20세 이상 남녀 1천245명을 대상으로 ‘축산물이력제 인식도와 육류소비유형’을 조사한 결과 이력제 신뢰도는 높은데 비해 실제 조회율은 낮은 편이라고 지적했다.
축산물이력제 인식도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 중 35.9%가 돼지고기이력제 시행을 모른다고 답변했고, 10명 중 7명꼴이 ‘이력번호 확인’ 하지만 조회한 적은 없다고 대답했다.
축산물 위생과 안전을 위해 축산물이력제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가에 대한 가장 많은 응답자 79.8%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이중 돼지고기 이력제 시행이 필요하다는 응답자는 79.8%로 조사됐지만 447명에 해당하는 응답자 중 35.9%가 돼지고기이력제 시행에 대해 아직까지 모르고 있었으며 이력번호를 실제로 조회한 적이 있는 응답자 역시 28.5%밖에 되지 않아 돼지고기이력제 필요성만큼 소비자 인식도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식육판매업소 등에서 축산물이력제 시행에 대한 신뢰도 조사결과 응답자 중 60.6%가 축산물 이력제에 대해 신뢰하고 있었으며 79.8%가 이력제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응답자 60.6%가 축산물이력제 이행에 대해 ‘매우 신뢰함 또는 신뢰하는 편’이라고 답해 실제로 육류 구입 시 또는 구입 후 이력번호 조회율(28.5%)은 낮지만, 관련 제도에 대한 신뢰도는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현재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대표적인 축산물 안전 관련 제도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 결과, ‘원산지표시제도’(78.9%), ‘축산물등급제도’(65%), ‘축산물이력제’(58%), ‘축산물HACCP'(53.8%) 순으로 나타나 원산지표시제도와 축산물등급제도에 대한 인지도가 가장 높았다.
‘식육 구분판매제도’(72.8%), ‘친환경축산물인증제도’ (63.8%)에 대해선 모른다는 응답자가 가장 많아 관련 제도에 대한 홍보가 적극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육류구매시에는 ‘신선도(위생)’ 47.5%, ‘원산지’ 21.2%, 순으로 고려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응답자 중 85.3%가 국내산 육류를 구입하고, 65.8%는 우수하고 안전해서 구입한다고 응답했다. ‘가격’(10.8%)과 ‘품질’(10.5%)보다는 ‘원산지’(21.2%)를 구매 선택 시 더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조사됐다.
응답자 중 45%만이 ‘HACCP’ 마크를 확인하고 10명중 6명꼴로 위생관리 감독 강화와 품질고급화를 개선방안으로 꼽았다.
이와 관련 돼지고기 이력제 표시이행 실태조사를 10월 20일부터 28일까지 서울 부산 등 13개 지역 식육판매업소 1천139곳 중 989개소(86.8%), 미표시하거나 일부 미표시 한곳은 150개소로 13.2%를 나타냈다. 미표시율은 8.4%로 광주(17.2%), 대구(14.6%) 순으로 높았다. 영업자 1천113명 중 26명(2.3%)가 돼지고기 이력제를 모른다고 응답해 사각지대에 놓인만큼 정부단속과 홍보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소비자교육중앙회는 이력제 신뢰도에 비해 실제 조회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축산물 위생에 대한 신뢰도는 낮지만 국내산 육류 구입률이 높은 만큼 정부의 관리 감독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