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9.30 (월)

  • 구름많음동두천 22.4℃
  • 구름많음강릉 23.7℃
  • 맑음서울 24.0℃
  • 구름많음대전 24.7℃
  • 구름많음대구 23.5℃
  • 구름조금울산 24.7℃
  • 구름많음광주 25.8℃
  • 구름조금부산 27.9℃
  • 구름조금고창 26.8℃
  • 구름조금제주 27.7℃
  • 구름조금강화 23.1℃
  • 구름많음보은 23.4℃
  • 구름많음금산 24.8℃
  • 구름많음강진군 25.9℃
  • 구름많음경주시 24.7℃
  • 맑음거제 25.1℃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연재

적정두수·시설개선·소비확대…생산성으로 通해야

■ 박근혜 정부 출범 계기로 본 축산 어제와 오늘 그리고 미래 / 양돈산업

[축산신문 이일호 기자]


양돈산업 틀 어떻게 바꿔야 하나


규모 확대 아닌 생산성 향상으로  자급률 확보

저지방부위 소비활성화·수출 신 성장동력화 


전문가들은 돼지고기 자급률에 대한 확고한 목표를 전제로, 생산성과 균형을 이룰 수 있는 적정사육두수 제시와 양돈장 시설개선, 소비확대가 이뤄지는 형태로 양돈산업의 틀을 바꿔나가야 한다고 말한다. 

우선 적정사육두수만 해도 그렇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최근 5년간 국내 돼지고기 소비량은 연간 100만톤 안팎에서 형성돼 왔다. 이 가운데 국내산은 75만톤선. 돼지도축두수로 환산할 경우 1천400만두 수준에 해당하는 물량이다. 

결국 연간 1천400만두의 도축을 뒷받침 하기위한 돼지사육두수가 현시점에서 우리나라의 적정사육두수임을 추정해 볼 수 있다.

다만 이전과는 다른 방법으로 적정사육두수에 대한 접근이 이뤄져야 한다는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생산성을 감안한 적정사육두수 산출이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다.

최근 국내 양돈업계가 겪고 있는 혼란도 정부나 양돈업계 모두 생산성 변화는 고려치 않은 채 FMD 이전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급을 예측하는 ‘중대한 실책’에서 기인됐다는 판단이 그 배경이 됐다.


◆MSY 2두 못올려서야 

대한한돈협회가 최근 돈가안정 대책으로 모돈 10% 감축을 제시한 것도 이 때문이다.  

한돈협회는 FMD를 거치며 국내 양돈농가의 생산성이 크게 향상, MSY 17두를 상회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 모돈수(2012년 12월 현재 96만두)를 감안할 때 올해 돼지도축두수가 1천700만두, 국산돼지고기 공급량은 90만톤 달하며 극한 공급과잉이 우려된다는 분석이다.

정영철 정P&C연구소장도 “일단 적정수준으로 모돈이 감축되면 돼지고기 소비량이 지금보다 큰 폭으로 증가하지 않는 한 다시 늘려서는 안된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각국과의 FTA 발효로 내년부터 무관세 돼지고기 수입이 본격화, 지금 수준의 생산성으로는 국산돈육 시장도 유지하기 어렵다는 전제에서다. 다시말해 자급률 목표 달성이나 돼지고기 소비증가분의 국산돈육 흡수 역시 생산성 향상을 통해 커버해야 한다는 것이다.  


◆모돈수 대비 충분한 비육장

실제로 농경연은 20.3kg인 국민1인당 돼지고기 소비량이 10년후인 오는 2022년에는 22kg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10% 수준의 증가세를 내다본 것. 

한돈협회의 분석대로 현재 국내 생산성이 MSY 17두라면 소비증가분 전량을 국내산으로 대체한다고 해도 10년에 걸쳐 19~20두까지 끌어올리면 충분히 가능하다는 계산이 가능하다. 

세계 최고 수준으로 손꼽히는 덴마크에 훨씬 미치지 못하는 생산성만으로도 자급률이 최소 80%는 돼야 한다는 양돈업계의 목표를 충분히 달성 가능하다는 결론이 나온다.

생산성 향상이 새로운 틀의 양돈산업, 더구나 저수익구조로 급전환되고 있는 현실속에서 국내양돈농가 생존의 핵심동력이 될 수밖에 없음을 짐작케 하는 대목.

따라서 시설 개선도 해당농장의 사육두수 확대는 철저히 지양하되 분만사와 자돈사를 중심으로 한 현대화, 그리고 생산성 향상을 감안한 모돈1두당 비육장 시설 확보에 초점이 맞춰져야 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국내 농장 대부분 모돈 1두당 10~11두 수준에 맞춰져 있는 비육장 시설로는 밀사가 불가피, 지금대로라면 오히려 과거로 회귀할 가능성도 배제치 못하기 때문이다. 

소비부문에서도 생산성 향상을 기반으로 한 가격경쟁력 확보와 수입시장 확대 차단, 그리고 국산돈육의 판로를 보다 다변화 하는 방향으로 재편이 이뤄져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이병모 한돈협회장은 “저지방부위의 소비를 활성화 시킬수 만 있다면 삼겹살의 매출비중을 낮춤으로써 생산성향상과 더불어 국산돈육의 가격경쟁력을 더욱 높이면서도 농가수취가격은 상승하는 시너지효과를 기대할수 있다”며 “이럴 경우 생각보다 짧은 시간내에 국산돈육 주도하에 1인당 소비량을 25kg까지 늘려나갈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최근 식품위생법이 개정돼 독일의 메쯔거라이나 미국의 부쳐삽과 마찬가지로 식육판매점에서 햄이나 소시지의 즉석 제조 판매가 가능해졌다는 점은 그 가능성을 더욱 높여주는 요인이 도리 전망이다.

 

◆저수익구조 충격 최소화를 

FMD와 돼지열병 청정화를 통한 돼지고기 생육수출 재개도 국내 양돈업계가 주력해할 부분.

국산돈육의 판로를 보다 다양화 하면서 국산돈육 수급의 또다른 안전장치가 될수 있다는 분석이다. 특히 부가가치 높은 시장 개척도 가능하다는 점에서 수출은 저지방부위 활성화와 함께 저수익구조하의 농가충격을 최소화 할수 있는 만큼 국내 양돈산업의 또다른 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양돈업계 관계자들은 이와관련 “양돈농가들의 인식부터 새롭게 가져야 할 때”라면서 “정부에서도 양돈이 식량안보 차원에서 반드시 사수해야 할 산업임을 직시하고 새로운 틀을 짤수 있는 정책적 뒷받침에 적극 나서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