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이슈

<2021 신년특집>양돈산업 전망 / 도축두수 1천810만두선 유지…수입시장 향방이 변수

2020년은 연간 도축두수가 1천800만두를 넘어선 첫 해로 기록됐다. 매년 꾸준히 증가해 오던 도축두수가 지난해 마침내 1천820만두가 된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올해 도축두수는 지난해 보다 적거나 비슷한 수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국내 모돈 사육두수가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돼지고기 수입량이 증가하지 않는 한 새해 돼지가격은 지난해 보다는 높게 형성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최 성 현  전무(대한한돈협회)


모돈 사육두수 감소 지속…돈가 전년보다 상승 가능성

중국 ASF 진정 따른 수입돈가 안정세…물량 증가 우려


되돌아본 2020년

2019년 돼지고기 수입실적은 42만톤, 2020년은 이 보다 27% 줄어든 32만톤 정도가 된 것으로 보인다.  

ASF로 수급 불균형을 우려한 수입 업체들이 2018년도에 46만톤, 2019년도 42만톤에 달하는 돼지고기를 수입하기도 했지만 국내 양돈장에서 ASF가 발생했음에도 경기 북부 4개 시군에서만 한정되고, 전국적인 확산이 저지되면서 수입은 급격이 줄었다. 그러나 수입육 재고 증가로 2019년 돼지가격이 폭락, 2020년에는 사상 처음으로 돼지고기가 FTA 피해품목으로 선정돼 피해보상과 함께 폐업지원도 추진되고 있다. 


수입 전지-한돈 후지 가격 역전

지난해 국내산 후지가격이 수입 전지 보다 낮은 현상이 지속되기도 했다. 

한돈후지는 햄, 소세지 등의 원료육으로 많이 사용돼 왔는데, 지난해 수입산 전지 보다 오히려 낮은 가격이 형성되면서, 전지 수입 물량이 2019년(15만2천톤) 대비 약 4만5톤이 줄어든 10만8천톤  수준에 머문 것으로 추정된다. 한돈 후지 연간 생산량은 약 25만톤 내외인데, 2020년 국내 재고가 2년전인 2018년의 1만4천톤 대비 약 3배 증가한 4만2천톤에 달하며 국내 시장을 불안케 했다. 

후지를 공급하는 1차 육가공업계는 2차 육가공업계에 납득할 만한 가격 보장을 제시하며 국내산 사용 확대를 요청하고 있지만 2차 육가공업계는 국내산 가격의 불안정과 질병으로 인한 수급 차질을 우려, 수입 전지 대체에 적극 나서지 못하고 있다.


돼지가격

2019년 돼지 도매가격은 지육 kg당 3천799원으로 최근 6년이래 가장 낮기도 했지만 지난해 4천184원으로 약 11%(405원, 두당 3만4천원) 회복했다. 지난해 초만 해도 코로나로 인한 전국적인 학교급식 중단, 모임 중단, 사회적 거리두기 등으로 돼지가격이 약세를 면치 못할 것으로 예상하기도 했지만 집에 머무르는 소비자들의 돼지고기 소비가 늘고, 꾸러미 지원, 적극적인 소비활동 등으로 돼지가격이 지지된 데 따른 것이다. 

 


2021년 예측 및 이슈

새해 국내 돼지 도축두수는 지난해와 비슷한 1천810만두 수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3월부터 8월까지 자율적인 모돈감축 캠페인과 사료구매자금 지원시 모돈감축 의무 정책의 효과로 지난해 3월 모돈두수 대비 9월에는 2만2천두가 감소 하는 등 모돈사육두수가 정체 또는 줄어드는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돈가 4천100원~4천200원대 예상

중국으로 몰려가던 국제 돼지고기 시장이 안정되고 있는 추세는 새해 국내 돼지고기 수입시장의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국내의 돼지고기 수입시장은 전년 대비 27% 감소하기도 했지만 국제 돼지고기 가격이 하락하면 돼지고기 수입 증가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에는 국내산 후지 가격이 kg당 2천800~3천200원 내외로 수입 전지 가격인 3천500원 보다 낮다 보니 육가공용 수입 전지 부위가 국내산으로 대체, 돼지고기 수입을 방어하는 효과가 있었다. 

새해  수입 전지가격이 국내산과 경쟁하는 수준이 된다면 변동성이 거의 없는 수입 전지 사용이 증가 될 가능성이 충분하다. 달러 가격이 1천200원대에서 1천050원까지 하락하는 현상도 수입 돼지고기 가격을 하락시킬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도매시장 활성화 대책 추진

돼지가격을 결정하는 역할을 맡고 있는 돼지 도매시장은 한돈산업에서 없어서는 안되는 중요한 시장이다. 다만 최근 도매시장 경매두수가 점점 줄어드는 추세로 인해 가격 변동폭이 커지고 있어 이에 대한 보완 대책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돈협회에서는 전국 12개 도매시장 활성화를 위해 각 도매시장을 방문·조사, 중도매인 활성화 방안 및 규격돈 출하 확대를 통한 품질안정화 등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고 있다. 해외 돼지가격 결정 사례를 보면, 유럽의 경우 돼지가격 결정위원회에서 결정한다. 미국은 식육패커들이 농가들과 거래한 돼지가격을 보고, 정부가 이들 가격을 공포하는 방식 등으로 운영되고 있다. 

다만 이러한 해외 사례를 우리나라에 그대로 접목시키기는 것은 무리가 있는 만큼 한돈협회는 국내 현실에 맞게 현재 운영되고 있는 도매시장을 제대로 분석, 장점은 더욱 확대 발전시키되 경매두수 감소 등 문제점은 보완·개선 하는 등의 노력을 하고 있다. 궁극적으로 도매시장을 활성화함으로써 돼지가격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멧돼지 ASF 발생차단 대책 

 2019년 9월 16일부터 10월 6일까지 ASF가 12농가에서 발생한 후, 1년만인 2020년 10월 화천에서 추가 발생, 경기 북부권역에 대한 돼지 재입식이 늦어지고, 강원남부권역 돼지는 타 도로 이동이 금지 되는 등 ASF 상황이 원점으로 돌아갔다. 다행히 1년 2개월만인 11월 23일부터 돼지 재입식이 시작되었지만, 11월 28일 광역울타리 남단 1.5 km 지점인 가평 개곡리에서 포획된 멧돼지 5개체에서 ASF 감염이 확진된 만큼 야생 멧돼지 차단을 못할 경우 ASF 남하는 계속 될 것으로 보인다. 

 광역울타리의 특성상 곳곳에 개방된 주민 통로와 교각, 울타리 사각지대 등으로 인해 멧돼지의 이동을 막기 어렵다. 광역울타리는 야생멧돼지 남하를 지연시키는 역할만 할 뿐이다. 한돈협회에서는 남쪽 지역으로 야생 멧돼지의  ASF 감염을 차단하기 위해 멧돼지 ASF 발생 인근 시군에 대해서는 ‘멧돼지 진공벨트(제로화)’ 가 이뤄질수 있도록 건의하고 그 실현을 위해 전방위 노력하고 있다. 

환경부는 강원 5개지역(횡성, 평창, 강릉, 홍천, 양양)에 대해 지난해 12월 14일부터 올해 3월말까지 광역수렵장을 운영, 멧돼지를 최대한 포획하는 계획을 세우고 있으나 한돈협회는 강원권 1개 시군(원주)과 경기남부권 4개 시군(남양주, 양평, 광주, 여주)을 추가, 광역수렵장을 운영토록 요구하고 있다. 경기 남부권 멧돼지의 ASF감염은 남쪽 지역으로 ASF 확산의 우려가 높기 때문이다. 

 

곡물가격 상승 예의 주시

ASF로 감소되었던 중국의 돼지 사육두수가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고 중국의 태풍과 홍수로 인한 경작지 피해 등으로 중국의 사료용 곡물 수입도 증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사료용 곡물가격이 계속 상승하고 있다. 미국의 곡물작황 상황은 지난해 초 폭풍과 고온건조한 기상 여건에도 불구하고 수확기에는 하방압력이 예상되지만, 곡물 수출국인 브라질, 아르헨티나의 라니냐로 인한 곡물수확 차질 우려가 더 크게 나타나고 있는 만큼 곡물 가격 상승이 예상되고 있다. 달러 가격의 하락으로 곡물 수입가격 상승분의 일부가 상쇄될 수도 있다. 그렇다고 해도 해외의 곡물가격 상승 추세는 국내 사료가격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돼지등급기준 개선

지난 2019년의 경우 연간 약 1천767만두의 돼지가 등급판정을 받았으며, 1+등급 30.6%, 1등급 34.3%, 2등급 31.4%, 등외등급 3.7%의 출현율을 보이기도 했다. 그동안 돼지도체 등급판정제도는 돼지 규격 기준을 제시하고 한돈 품질 개선을 유도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해 오고 있다. 다만 지금의 기준이 지난 2013년 기준 개정 이후 7년이 경과, 최근 여건 변화에 따라 개선 연구사업 추진 등 개선 절차에 들어간 상태다. 특히 다산성 모돈이 증가함에 따라 이에 대한 특성을 반영하고, 모돈에 따른 맞춤형 정액 공급 등이 이뤄질 수 있도록 관련 연구도 진행중이다. 향후 농가 및 소비자 등이 요구하는 등급기준이 마련될 수 있도록 축산물품질평가원과 협의중이며, 조만간 개선된 등급기준안이 도출되리라 기대한다.

축산신문, CHUKSANNEWS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