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4 (수)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포커스>돈육 후지 적체 심각…어떻게 풀어야 하나

돈육시장 요동…2차 육가공품 원료육 확대를

[축산신문 김영길  기자]


소비편중에 ASF∙코로나 여파…재고량 예년 대비 3.4배 ‘껑충’

가공업계, 덤핑판매∙적자누적 ‘악순환’…생산농가까지 악영향

신시장 개척에 한계…1~2차 가공 상생협약 ‘안정적 수급’ 절실


돼지고기 후지 재고가 너무 많다. 덤핑판매도 심각하다. 이 때문에 후지 시장이 엉망이 된 것은 물론이고, 돼지고기 시장 전반이 크게 흔들리고 있다.

1차 축산물 가공업체 입장에서는 재고를 떨쳐내려면 손해보고 팔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 적자 누적이 심화되고, 도산∙폐업이 잇따르고 있다. 이는 결국 양돈 생산농가에도 가격하락 등 피해로 돌아갈 수 있다. 악순환 고리를 끊어내야 한다.

한국육류유통수출협회에 따르면, 지난 9월 기준으로 국내산 돼지고기 전체 재고는 7만2천톤이다. 이중 후지는 4만2천톤에 달한다. 58.9%에 해당한다.

후지 재고는 전년동기 대비 2.5배, 평년(최근 5년)대비 3.4배나 증가했다.

후지재고가 왜 이렇게 늘어났을까. 

기본적으로 국내 소비자들은 삼겹살 중심으로 돼지고기를 소비한다. 편중이 매우 심하다. 후지는 비선호부위다. 평소에도 처치곤란, 애물단지로 취급받기 일쑤다.

이 상황에 지난해 9월 국내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터졌고, 축산물 유통업체들은 물량부족에 대비, 급하게 그리고 많이 안전재고용 수입육을 들여왔다.

여기에 올 초부터 코로나19 사태에 갇혀버렸다.

돼지고기 후지는 그나마 지탱해주던 학교급식, 단체급식, 가공식품 등 주 수요처를 잃어버렸다. 후지 재고는 이렇게 계속 쌓여갔다.

1차 축산물 가공 업체는 현 후지 재고 문제를 풀어낼 해법은 오직 2차 육가공품 원료육 뿐이라고 설명한다.

단기간에 소비패턴을 바꾸거나 수출 등 신규시장 개척이 쉽지 않다는 판단에서다.

또한 급식 등 다른 수요처 역시 이 넘쳐나는 후지 재고 물량을 소화해내기에는 턱없이 모자란다고 전한다.

사실상 2차 육가공품 원료육에 기댈 수 밖에 없는 처지다.

2차 육가공품 원료육은 후지 최대 수요처다. 한국육류유통수출협회가 지난 9월 43개 회원사를 대상으로 올 8월까지 후지 유통경로를 조사한 결과, 후지 월평균 생산량 중 67.6%가 2차 육가공 업체에 공급됐다.

게다가 그 물량이 어마어마하다. 한국육류유통수출협회 분석에 따르면, 2차 육가공품 원료육으로 연 15만톤 가량이 쓰인다.  

여기에서 국내산 후지를 조금만 더 쓰면, 재고문제 해결에 숨통을 틔울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힌다.

사실상 물꼬는 텄다. 2018년 하반기 중국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발생한 이후부터다.

2차 육가공품 원료육 시장에서는 보통 국내산 후지와 수입 전지가 경쟁한다.

중국 ASF 발생 이후 수입 전지 가격은 오르고, 국내산 후지 가격은 많이 내려갔다. 오히려 국내산이 더 저렴해졌다.

2차 육가공 업체 입장에서는 굳이 수입육을 쓸 이유가 없어졌다. 이를 통해 2차 육가공품에 국내산 후지 사용이 늘기 시작했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다는 것이 1차 가공업체들의 한결같은 목소리다.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후지 공급망을 구축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일정규모 이상 1차∙2차 가공업체가 다수 참여하는 연간 10만톤 이상 상생협약이다.

10만톤은 국내산 전체 후지 생산량의 35%, 2차 육가공품 원료육 사용량의 70% 수준이다.

1차 가공업체들은 이 협약이 성사된다면, 파격적인 가격결정도 제시할 용의가 충분하다.

아울러 국내산 후지를 사용할 경우 2차 육가공 업체에서는 품질, 물류, 창고비용 절감 등 다양한 잇점을 볼 수 있다고 전한다.

다만, 국내산 후지는 여전히 가격변동성이 심하다는 단점을 안고 있다. ASF, 구제역 등 악성가축질병이 발생할 경우 수급도 불안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1차 가공업체들은 돼지가격 변동폭을 완화시켜 줄 새로운 가격체계 도입과 국내산 돼지고기 사용확대를 도울 가공업체 자금지원(1천억원 규모, 연 1% 금리)을 적극 검토해달라고 정부에 주문하고 있다.

1차 가공업계 관계자는 “후지 재고를 덜어내지 않고서는 돼지고기 시장이 늘 불안할 수 밖에 없다. 시한폭탄과 같다. 1차∙2차 가공업체 뿐 아니라 생산농가들까지 상생을 이끌어낼 협업체계 구축에 관계자들이 힘을 모아야 한다”고 말했다.  


축산신문, CHUKSANNEWS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