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8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동물약품·수의

<포커스>소독제 효력실험, ‘국부유출’ 막는다

국제공인 실험실 찾아 해외로 ‘돈 줄줄’

[축산신문 김영길 기자]


다른 국가들 실험 없이도 효능 인정

우리나라만 질병별 효력실험 거쳐야

국내선 인프라 부족해 사실상 불가

검역본부, 대책 마련 고시변경 추진


까탈스럽다고 할까. 우리나라에서만 유독 바이러스 질병마다 소독제 효력실험을 한다.

예를 들어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효력실험을 거치지 않았다면, ASF에 효력이 없는 소독제로 치부해 버린다.

구제역도 마찬가지다. 그래서 동물약품 업체들은 그 소독효력을 인정받으려고 세계동물보건기구(OIE)가 지정한 표준실험실에서 효력실험을 한다. 그렇지 않으면 효능·효과와 용법·용량에 해당질병을 새겨넣을 수 없다. 정말 소독효력이 없을까.

전문가들은 입을 모아 “아니다. 효력이 있다”고 잘라말한다.

이번 ASF 사태에서도 100개가 넘는 소독제들이 ASF 효력실험을 거쳤다. 하지만 효력없는 소독제는 없었다. 모두 ASF에 소독효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다른 나라는 그렇지 않다. 

국제기구(FAO, OIE 등)에서 인정한 성분에 대해 별도 효력실험없이도 소독효력을 인정한다.

전문가들은 물론 꼼꼼히 따져서 나쁠 것은 없겠지만, 바이러스 질병마다 일일이 소독 효력실험하는 것은 쓸데없는 낭비라고 지적한다. 게다가 이 소독 효력실험은 전부 외국에서 한다. 위험한 바이러스를 다룰 생물안전3등급(LSBL3) 실험실이 부족해서다.

국내 실험은 아예 봉쇄돼있다고 봐도 무방하다. 실험비용이 한건당 1천만원 가량이나 된다. ASF 소독 효력실험만해도, 이렇게 수십억원이 외국으로 빠져나갔다. 

구제역 효력실험때도 그랬다.  어렵게 벌어들인 국부가 허무하게 날라가버리는 것이 너무나 안타깝다.

외국 실험기관 반응도 냉소적이다. (돈벌어 좋지만) 한 마디로 “왜 하냐”다. 그리고 “빨리 해달라”고 조급해 하는 국내 업체와 달리, “좀더 기다려라”며 느긋하게 대응하기 일쑤였다.

국내 업체 입장에서는 돈 주면서 오히려 매달리고 있는 꼴이다. 이것을 계속 놔둬야 할까. 이에 대한 지적이 동물약품 업계 안팎에서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다.

정부가 대책마련에 들어갔다.

농림축산검역본부는 3년 과제로 올해부터 소독제 효력실험 개선 연구용역에 착수했다.

대표 바이러스를 선정해 이를 통해 폭넓게 바이러스 질병에 대한 소독효력을 인정해 준다는 것이 골자다.

이미 세균 질병에서는 시행하고 있다. 일반세균은 살모넬라, 아포세균은 클로스트리듀움, 항산성세균은 마이코박테리움 등 그룹별 실험 형태다.

검역본부는 올해 구제역·ASF 바이러스를 대체할 대표 바이러스를 선정한다는 계획이다. 그 대표성을 찾는 것이 핵심포인트다.

이후 내년 상반기 중 소독제 효력실험 고시를 변경한다는 구상이다. 이렇게 고시가 변경된다면 앞으로는 굳이 구제역·ASF 소독제 효력실험이 필요없어진다. 대표 바이러스 실험만으로도 구제역·ASF 소독효력을 인정받는다.

외국으로 돈이 새지 않는다.

검역본부는 또 앞으로 국내 유입 가능성이 있는 해외가축질병에 대해 선제적으로 외국에서 연구하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미리 해당 바이러스 특성을 파악해 놓는다면, 대표 바이러스 실험결과를 통해 해당질병 소독 효력을 인정하는 식이다. 예를 들어 아프리카에서 발생하고 있는 리프트밸리열병이 있다.

이번 ASF 소독제와 같은 혼돈을 피할 수 있는 대안이 충분히 될만 하다.

동물약품 업계는 이에 대해 “조금 늦은감이 있지만, 그래도 앞으로 출시 또는 허가변경 소독제를 감안하면, 비용·시간 절감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며 환영의 뜻을 전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