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지주출범 3년, 농협 축산경제사업 새판을 짜자 <3>신성장동력, 신속한 의사결정이 관건

경제사업 활성화 투자계획 공염불 우려

[축산신문 신정훈  기자]


활발한 M&A로 축산지형 급속한 변화
축산경제, 민간기업 세 불리기 구경만
의사결정체계 단순화…체질개선 시급


2000년대부터 정부와 기업을 관통하는 공통적 화두는 ‘신성장동력’이었다.
농협경제지주 축산경제도 어느 순간부터 ‘신성장동력’ 발굴이 중요한 과제로 자리 잡았다. 고착화되어 있는 사업의 틀을 깨고 새로운 성장 동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조직 구성원 누구나 느끼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축산경제의 ‘신성장동력’ 발굴 노력은 여전히 답보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민간기업이 축산계열화 사업을 바탕으로 그룹으로 불릴 정도로 빠른 속도로 몸집을 키워오는 동안 축산경제 조직은 단 한건의 M&A조차 성공시키지 못했다. M&A(merger and acquisitions)는 기업의 외적 성장을 위한 발전전략이다. 하림이나 이지바이오, 사조 등이 활발한 M&A로 우리나라 축산업의 지형을 바꿔 나가는 동안 2000년 통합농협 출범 이후 축산경제부문은 마냥 손을 놓고 있었다는 내외부의 비판에서 결코 자유로울 수 없는 행보를 이어왔다.
대표적인 사례로 IMF 이후 정부가 추진한 공기업 민영화 과정을 들 수 있다. 당시 정부는 농수산물유통공사가 전액 출자한 한국냉장(현재 팜스토리 한냉)을 민간에 매각하는 작업을 추진했다. 정부는 물밑 접촉을 통해 농협중앙회(축산경제)가 한냉 인수전에 적극 나서줄 것을 요청하기도 했다. 그러나 축산경제는 부정적인 내용 위주로 검토만 되풀이하던 끝에 2000년 1차 입찰에 참여하지 않았고, 결국 한냉은 한일사료를 거쳐 지금은 이지바이오그룹의 품에 안겨있다. 지금은 하림그룹의 일원이 된 선진(2007년), 대상팜스코(2009년) 등 농협계열사를 희망했던 축산기업들이 있었지만 축산경제는 절대 인수전에 모습을 비추지 않았다. 그 후 축산경제에 매각의사를 타진했던 가금계열기업들도 결코 농협의 손을 잡지 못했다.
축산경제는 그동안 왜 단 한건의 M&A를 제대로 시도조차 못했을까. 당시 의사결정 과정에 있었던 이들은 다양한 이유를 들어 난색을 표했다. 한냉의 경우 경영진의 긍정적인 검토 지시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민영화 실적 때문에 농협에 짐을 떠넘기려는 것이라는 변명으로 일관한 실무자(부장, 팀장)들이 계속 부정적인 검토보고를 올렸던 사례다. 선진의 경우에는 당시 축산경제 집행간부가 “지분 100%를 확보하지 못하는 상장회사는 농협이 인수하기 곤란하다”고 못을 박아 인수를 막기도 했다. 인수의사가 아예 없었던 것이다.
M&A 의사가 없었던 사례만 있는 것은 아니다. 경영진과 실무자 모두 적극적으로 인수전에 뛰어들겠다고 작심했던 사례도 있다. 그러나 회장 위주로 돌아가는 농협중앙회의 높은 벽을 넘지 못해 포기했던 일도 적지 않다.
민간기업이 경영진의 빠른 판단과 결정으로 속전속결로 축산기업을 집어삼키는 것과 비교하면 농협의 복잡한 의사결정구조가 M&A를 불가능하게 만들었다는 시각도 가능한 이유이다. 축산경제 만의 결정으로 기업을 인수하기 어려운 구조라는 얘기다. 어쨌든 축산경제 또는 교육지원은 때때로 의사결정구조, 즉 시스템을 핑계 삼아 계속 뒤처졌고, 때로는 회장 또는 대표의 독단적인 결정에 좌우되는 모습도 연출하기도 했다.
결국 앞으로 농협경제지주 축산경제가 보다 쉽고 빠르게 신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해선 M&A에 대한 의사결정체계를 더욱 단순화하고, 명확화시키는 작업이 필요한 셈이다.
물론 신성장동력은 M&A를 통해서만 확보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지름길인 것은 분명하다.
경제지주 출범 원년인 2012년 4월에 농협경제사업평가 실무협의회 토론자료로 작성된 축산경제부문 경제사업 활성화 세부추진계획을 보면 총 18개 사업에 2020년까지 1조6천578억원을 투자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문제는 이들 계획이 말 그대로 계획대로 잘 추진되고 있냐는 것이다. 다수의 투자계획이 시작도 못했거나 답보상태, 즉 검토단계에 머물러 있는 것이 사실이다.
종계·부화장 하나 없어 고군분투하고 있는 목우촌을 보면 애처롭다는 생각이 든다는 직원들이 많다.
기본적인 인프라조차 구축하지 못한 축산경제가 어느 세월에 민간기업과 치열한 경쟁에서 이기고 국민에게 행복을 줄 수 있을지. 지금으로선 요원해 보인다.
하루빨리 기존 성장동력의 발전단계 및 특성별로 차별화된 전략과 지원방안을 수립하고, 대한민국 최고의 축산사업조직이라는 환상에서 벗어나 신성장동력을 확보해 기존사업과 융합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계속>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