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0 (토)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연재

축산현장 애로기술 해결 위한 돼지 사육 [100문 100답] (31~34)

  • 등록 2018.08.24 11:31:36

[축산신문 기자]


Q. <31>돼지는 몇 개월째에 성적으로 성숙이 이루어져 새끼돼지를 생산할 수 있게 되나요?
A. ▣ 암퇘지의 성성숙
암퇘지의 성성숙은 생후 135∼250일령 사이로 범위가 넓게 나타나지만, 대개 200 일령 전후에 이루어지지만, 생후 8개월령 또는 체중이 110∼120kg 정도가 되고 규칙적인 발정이 2∼3회 반복된 이후에 번식에 공용하는 것이 좋다.

▣ 수퇘지의 성성숙
수퇘지의 성성숙은 생후 120일령 이후에 이루어지지만, 이 때는 아직 수퇘지가 발육 중에 있고, 사정되는 정액량과 정자수 또한 충분하지 못하며, 미성숙 및 기형정자의 비율이 높기 때문에 생후 180∼240일령 이전에는 번식에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수퇘지는 생후 8개월령 또는 체중이 120∼130kg이 넘었을 때 번식에 공용하는 것이 좋다.


Q. <32>어미돼지의 발정주기와 이와 관련된 호르몬 변화에 대해 알려주세요.
A. ▣ 돼지의 발정주기
돼지의 발정주기는 대개 20∼22일(평균 21일)이며, 연중 반복되어 나타난다. 발정지속 시간은 40∼70시간(평균 48시간)이며, 일반적으로 새끼를 낳은 경험이 있는 경산돈(sow)이 초산돈보다 더 발정지속시간이 더 길게 나타난다.

▣ 돼지의 발정주기와 관련된 호르몬 변화
발정주기는 15∼16일 동안 유지되는 황체기(luteal phase)와 5∼6일 동안 나타나는 난포기(follicular phase)로 구분된다. 배란 후에 형성된 황체에서는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이라는 호르몬을 분비하여 FSH와 LH의 분비를 막아 난포가 발육되지 못하도록 하여 발정이 오지 않는데, 이 시기를 황체기라고 부른다.
A) 비임신 : 자궁내막(프로스타글란딘 ; prostaglandine 분비증가)→황체 퇴화→프로게스테론 감소→FSH, LH 증가→난포성장→발정징후
B) 임신 : 자궁내막(프로스타글란딘, prostaglandine 분비감소)→황체유지→프로게스테론 증가→임신유지


Q. <33>어미돼지의 발정재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A. ▣ 발정재귀
‘발정재귀’는 ‘분만후 발정’이라고도 하며 분만이 이루어진 후에 다음 번 번식주기에 다시 발정이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돼지의 경우, 임신과 분만과정에서 성장하고 손상되었던 자궁의 크기가 원래의 크기로 축소되고 자궁내막이 재생되는데 약 25∼28일이 소요된다.

▣ 분만 후 발정재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만돈은 보통 이유 후 4∼7일에 배란을 동반하는 정상발정이 발현되는데, 이유로부터 발정이 발현될 때까지의 기간은 사양형태, 임신 중의 사료 및 단백질 섭취량, 비유중의 라이신 섭취량, 포유기간 등과 같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Q. <34>어미돼지의 배란수와 산자수 사이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해 주세요.
A. ▣ 배란과 산자수 사이의 관계
미경산돈은 12∼18개(평균 14개), 경산돈은 16∼28개(평균 20개)의 난자를 배란한다. 배란된 난자는 수정과 임신을 거쳐 분만에 이르게 되는데 미경산돈에서 10두, 경산돈에서 12∼14두의 산자수를 보이는 경우가 보통이다. 배란수가 많다고 하여 반드시 산자수가 높다는 명확한 증거는 없지만, 높은 산자수를 위해서는 배란수가 많아야 한다는 것이 일차적으로 중요한 요인이다.

▣ 배란수와 산차
배란수는 산차가 증가함에 따라 많아지는 양상을 보이며 7산차에 최고 수준에 도달하고, 그 후에는 일생동안 유사한 수준을 유지한다. 7산차 이후에 산자수가 감소하는 이유는 태아사망율(embryo mortality)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배란수의 유전력은 10% 정도로 낮으며, 백색품종이 유색품종에 비해 배란수가 많다.   <자료 : 국립축산과학원>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