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7 (수)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양돈

백신도, 치료제도 없는 아프리카 돈열, 국경검역 강화가 유일한 차단책

러시아 전문가, “사람·돈육제품 등 통해 타 대륙 전파” 지적
야생멧돼지 사육돼지 감염경로 달라…유입시 차단방역 중요

[축산신문 이일호 기자]


유럽을 중심으로 확산 일로를 보이며 전세계 양돈산업을 공포로 몰아넣고 있는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철저한 국경검역과 차단방역외에 국내 유입과 확산을 막을 별다른 방법이 없다는 지적이다.
대한한돈협회(회장 이병규)가 지난 23일 개최한 ASF 해외전문가초청 세미나에서 러시아의 바이러스 및 미생물관련 연방연구센터의 알렉산더 말로골로프킨 박사는 “ASF바이러스는 사람이나 돈육관련 제품 등에 의해 다른 대륙으로 확산되고 있다”며 “일단 유입이 이뤄질 경우엔 차단방역 수준에 따라 위험성이 달라지는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2007년 ASF가 처음 유입된 러시아에서는 병원성이 강한 바이러스로 인해 감염 4~5일 고열외에 별다른 증상을 보이지 않다가 10일만에 대부분 폐사하는 피해를 입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말로박사에 따르면 야생멧돼지와 사육돼지 모두 ASF 병원성을 보유하고 있지만 두 개 집단의 감염경로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야생멧돼지에 의한 사육돼지의 감염가능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는 것이다.
러시아에서는 오히려 방역의식이 상대적으로 낮은 ‘마당 방사’ 형태의 소규모 사육농가에서 냉장고에 오래 보관한 오염식품을 돼지에게 급여함으로써 감염고리가 끊이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실제로 ASF 바이러스는 냉동육에서 1천일이나 생존할 정도로 저온에서 고도로 저항성이 강하고, 70℃ 이상으로 가열해야 사멸하는 등 야외에서도 생존력이 매우 강하다.
반면 임상증상이 항상 전형적으론 나타나지 않고, PCR검사도 바이러스 여부만 파악할 수 있는 데다 아직까지 만족할 효과의 백신개발이 되지 않아 러시아에서는 오랜 기간 ASF 박멸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로박사는 설명했다.
지금까지 개발된 ASF 생독백신의 경우 만성증상이 나타나는 데다 야외바이러스와 구분이 안되고, 사독백신과 바이러스 복제, DNA 재조합 백신 모두 만족할 만한 방어효과를 얻지 못했다는 것. 더욱이 교차방어효과를 기대할 수 없어 다른 유형의 바이러스 감염시 또다른 백신이 필요하다는 점도 어려움으로 지목됐다.
이에 앞서 발표에 나선 농림축산검역본부 남향미 박사는 중국의 경우 아프리카와 교역이 활발, ASF 유입 가능성이 높은 만큼 우리나라 역시 긴장의 끈을 놓아서는 안될 것임을 강조했다.
검역본부에서도 해외여행시 식품이나 축산물휴대 반입금지는 물론 공항만에서 불법 휴대축산물 검역 및 압수, 비행기 선박유래 잔반돼지 급여금지 등 국내유입 방지대책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밝혔다.
남향미 박사는 이에 따라 국내 양돈현장에서도 철저한 차단방역과 함께 외국여행 후 일정기간 농장출입 금지와 함께 부득이한 잔반 급여시 최소 30분 이상 끓인 후 급여할 것을 당부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