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양돈

성공모델이 말하는 ‘스마트 양돈장’ 정착 방안

“정부·농가 접근방법부터 달라져야”

[축산신문 이일호 기자]


국내 양돈현장에 스마트팜이 정착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스마트양돈장의 대표적인 성공모델로 손꼽히고 있는 충남 천안의 풍일농장 정창용 대표의 생각은 정부와 양돈농가 모두 접근방법부터 달라져야 한다는 것이다.


풍일농장 정창용 대표 ‘젊은 한돈인 CEO대학’ 강연
‘편리성’ 보단 ‘데이터 활용’ 초점…조바심은 금물
정부 장비 표준화부터…3년 넘기힘든 ‘내구성’ 직시 


“비육구간 원가절감 대안”
최근 수료식을 가진 서울경기양돈농협의 ‘젊은 한돈인 CEO 대학’ 강연에서 정창용 대표<사진>는 먼저 ‘데이터로 운영되는 농장’이라는 스마트팜에 대한 개념부터 정확히 이해할 것을 양돈농가에게 강조했다.
따라서 ‘편리성’ 보다는 ‘데이터 활용’에 스마트팜의 목적을 두고, 장비선택이나 구입 역시 여기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분석이다. 정창용 대표는 “ICT장비의 경우 양돈현장에서는 내구성이 3년을 넘기기 힘들다. 편리성만 생각한다면 지속적인 효과를 기대할수 없다”며 “그러나 데이터는 다르다. 장비가 사라져도 데이터는 남는다. 이를 농장에 접목할 경우 그 효과는 계속될 것”이라고 밝혔다.
원가절감의 핵심구간이 돼야 하지만 모돈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뤄지고 있는 비육구간 생산성도 스마트팜 운영을 통해 대폭 향상될 수 있는 기반조성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했다.


“노하우로 키우는 시대 지났다”
그러나 스마트팜 운영을 통해 실질적인 효과를 얻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한 만큼 조바심은 금물이라는 지적이다. 
스마트팜 운영시 화재나 질식 등 재난방지 효과는 바로, 원가절감은 6~12개월, 생산성 향상은 최소한 1년이상 경과돼야 한다는 것이다.
풍일농장 역시 지난해 초 장비설치를 완료하고 여기서 수집된 데이터를 겨울철부터 적용한 결과 최근 출하일령이 20일 이상 단축되는 결실을 거두고 있다고 밝혔다.
정창용 대표는 “각종 데이터를 통해 내 농장에 최적의 사료 및 사양관리방법이나 백신프로그램, 돈사구성을 할 수 있다”며 “예를 들어 우리농장에선 돼지출하일령이 늦어지는 것은 백신, 그 중에서도 단콜백신 접종시 스트레스에 의한 요인이 가장 큰 사실을 확인했다. 이후 단콜백신 프로그램 개선을 통해 그 피해를 최소화 하고 있다. 이 역시 데이터가 뒷받침됐기에 가능했던 일”이라고 설명했다.
양돈농가의 고령화가 스마트팜 확산의 걸림돌이 될 것이라는 시각에 대해서는 간단히 정리했다.
정 대표는 “이제 노하우로 돼지를 사육하는 시대는 지났다. 생산성 향상에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며 “수집된 데이터를 꼭 내가 분석할 필요는 없다. 얼마든지 남이 대신 해줄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뜯어낸 장비값 갚아서야”
하지만 정부의 스마트팜 육성 대책에 대해서는 강한 아쉬움을 드러냈다.
정창용 대표는 “앞서 언급했지만 ICT장비의 내구성을 기대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며 “그런데 정부는 3년거치 7년 상환의 조건으로 ICT 장비 지원사업을 펼치고 있다. 농가입장에선 이미 뜯어내고 없어진 뒤 장비값(정부 지원금)을 갚아나가야 하는 상황이 전개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현실을 감안한 정책 개선을 수차례에 걸쳐 정부에 요청했지만 여전히 개선되지 않고 있다고 했다.
정창용 대표는 경제적 지원도 좋지만 스마트팜에 투입될 장비에 대한 표준화와 함께 매뉴얼도 마련, 양돈농가에서 손쉽게 관련 장비를 수리해서 사용할수 있는 여건 조성이 우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실시간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