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력표시 사소한 실수가 이력제 먹칠

  • 등록 2014.06.02 14:32:30
크게보기

소홀할 수 없는 쇠고기이력제

[축산신문 김은희 기자]

 

>>세월호, 축산현장엔 없나<7>

쇠고기 생산에서 소비에 이르기까지 유통 이력을 투명하게 공개해 소비자 신뢰를 높이기 위한 ‘쇠고기이력제’가 도입된 지 5년이 넘었다. 연간 투자되는 자금도 180억 원으로 그동안 모두  900억 원 이상이 소요됐다. 그러나 5년이 지난 지금도 쇠고기 이력제가 완전 정착했다고 보기 어렵다. 유통 현장에서는 아직도 기본을 잘 지키지 않아 쇠고기 이력제에 대한 불신을 야기시키는 사례가 없지 않기 때문이다.

 

이력제 완전 정착은 소비자 완전 신뢰 의미
사육부터 판매단계까지 기본 철저히 지켜야

 

쇠고기의 가장 큰 성수기인 명절을 전후한 쇠고기이력제 시행과 관련한 단속에 적발되는 건수가 제법 많은 것이 그것을 뒷받침한다. 
주로 식육판매장의 쇠고기이력표시에 대해 소홀문제가 지적된다.
쇠고기 이력상황은 판매장에서 포장된 부분육에 표시된 개체번호나 바코드를 스마트폰에 입력하기만 하면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돼 있다. 그런데 판매장에서 개체식별번호를 제대로 표시하지 않았거나 아예 표시하지 않았을 경우엔 쇠고기 이력을 확인할 수 없다. 쇠고기 이력제가 무용지물이 되는 것이다. 판매장 업주의 사소한 실수가 국내산 쇠고기에 대한 불신을 키우는 주원인이 되고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특정지역 브랜드전문판매장에서 부분육에 포장된 라벨에 적힌 이력번호를 확인해 본 결과 도축날짜가 오래된 것이거나, 브랜드가 다른 지역에서 생산된 것이라면 소비자는 속았다는 생각에 분노한다.
거기에 그치지 않고 모든 매장이 그럴 것이라고 생각함으로써 결국 쇠고기 이력제 불신과 국내산 쇠고기 소비 위축으로 이어진다. 판매장 입장에서는 단순한 실수라고 할 수 있지만 그것은 결코 단순한 것이 아니다.
사실 판매단계에서 쇠고기 이력제 적용 대상은 5만1천여개나 된다. 때문에 판매장마다 일일이 단속하기도 계도하기도 어렵다.
특히 전통시장 등 영세한 판매 업소의 경우 고령 등의 이유로 개체식별번호 표시가 미진한 상황이다. 하지만 업체가 영세하다고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귀찮다고 표기를 게을리 하게 된다면 결국은 한우, 나아가 국내산 쇠고기 산업 전체에 불신을 갖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사육단계에서도 마찬가지다. 사육농가에서는 송아지가 출생하면 위탁기관에 5일 이내에 서면으로 신고해야 하며 신고를 접수 받은 위탁기관은 30일 이내에 농가를 직접 방문해 귀표를 부착한 후 이력관리시스템에 정보를 입력해야 한다.
그러나 위탁기관을 통해 이력등록을 하다보면 기록 관리자의 실수로 암수가 바뀌거나 일령이 틀리는 사소한 실수로 인해 처음부터 부정확한 유통정보가 될 수도 있다.
쇠고기 이력제의 완전 정착은 국내 쇠고기에 대한 소비자의 완전 신뢰를 의미한다. 그런 만큼 사육단계에서부터 유통 소비 단계에 이르기까지 이력제 관리에 작은 실수도 용납되지 않은 이유다. 기본을 결코 무시해서 안되는 이유다.

김은희 tops4433@chuksannews.co.kr
당사의 허락없이 본 기사와 사진의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주소 :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부순환로 1962. 6층 (우편번호:08793)
대표전화 : 02) 871-9561 /E-mail : jhleeadt@hanmail.net
Copyright ⓒ 2007 축산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