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 유통단계만 줄인다고 답이 될 수 없어”

  • 등록 2012.01.25 14:03:20
크게보기

[축산신문 이동일 기자]


막막한 한우산업, 해법은 없나 / 하> 산지가 반토막, 소비지 요지부동


한우의 산지가격이 폭락하면서 농가들은 심각한 경영난을 겪고 있는 상황임에도 소비지에서 한우고기는 여전히 비싸다는 인식이 강하다. 이 같은 가격 왜곡의 원인에 대해 복잡하게 엮인 유통구조 때문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지만 유통관계자들은 단순한 유통업자의 탓으로만 돌리는 것은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외국의 경우와 비교하더라도 국내 축산물의 유통구조가 크게 복잡한 구조는 아니라는 분석도 이 같은 주장을 뒷받침하고 있다.

한우의 유통구조를 살펴보면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농가→수집상 또는 가축시장→도축장→가공장→판매장의 구조와 농가→농협 등 계통출하→도축장→가공장→판매장이다.

소비자의 식탁에 오르기까지의 과정이 복잡하다고 보는 견해는 축산물 유통의 특성을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는 것에서 비롯된 오해라는 지적이다.


유통, 한우 원료를 상품화하기 위한 필수과정

전문가들 ‘“직거래·계통 판매장 가격이라고 큰 차이 있나” 반문

권장가 고시 통한 산지 연동성 강화…가격왜곡, ‘소비’로 풀어야


한 유통전문가는 “축산물의 경우 농가가 직접 도축이나 가공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상품화 되기 위해서는 이 같은 과정이 필수”라며 “한우는 한우고기라는 상품을 만들기 위한 원료이고 이를 상품화하는 과정이 모두 유통과정에 포함돼 있기 때문에 마진이 높은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단순한 축산물에서의 유통은 단순한 수집·포장·반출의 역할 뿐 아니라 상품화를 위한 작업이 포함돼 있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농장과 직거래를 하는 판매장이나 농협 등의 계통 판매장이 일반 판매장에 비해 가격을 크게 낮출 수 없는 이유가 이 같은 도축·가공과정을 거치지 않고는 판매를 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소비자들은 산지 한우가격이 폭락했다고 매스컴을 통해 접하면서도 실제 정육점이나 식당에서는 여전히 비싼 값에 부담을 느끼고 있다. 이 같은 상황이 오히려 소비자들에게 부정적인 인식을 키우지 않을까 우려되고 있다.

지난 18일 서울의 한 재래시장에서 만난 주부 A씨는 “명절음식에 쓸 한우고기를 사려고 왔는데 예상보다 비싸서 고민 중”이라며 “TV를 통해 소 값이 떨어져 농가가 소를 굶겨 죽이는 일도 있다고 알고 있는데 판매가격이 너무 비싸 솔직히 공감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이런 과정을 이해하더라도 음식점 등에서 원료가격이 떨어진 것을 반영하지 않고 있는 것에 대한 의문은 풀리지 않는다.

한 한우전문음식점 대표는 “음식점에서 원료인 한우구입 비용이 차지하는 비중은 전체 음식값의 30% 정도다. 채소 등의 부식원료비용, 전기세 등 각종 세금, 임대료 등 한우 값이 떨어지는 동안 그 외 모든 부대비용이 오른 것을 감안하면 음식점에서 가격을 낮추는 것은 정말 쉽지 않은 일”이라고 설명했다.

한우농가들은 산지가격과 소비자가격이 연동될 수 있는 대책마련을 요구하고 있다.

한우협회는 소비자 권장가격 고시를 통해 연동성을 강화하는 한편, 일시적 자가도축(도축장 경유) 판매를 허용해 소비자 가격을 낮추는 노력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생산자 조직인 농협 판매장을 활용한 적극적 한우가격 안정사업을 추진해 줄 것을 정부에 요구하고 있다.

종합해 볼 때 지금 정부에서 말하는 대형패커의 육성이나 단순한 유통단계의 축소가 답이 될 수 없다는 것이 업계의 지적이다. 

한우 산업의 안정적 성장을 위해서는 넓은 소비층을 확보하는 것이 우선이고 이를 위해서는 한우를 취급하는 식당과 판매점이 많아져야 한다. 농가의 안정적 생계안정 대책과 함께 이들 한우판매점이 한우를 팔아 돈을 잘 벌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길을 열어주도록 돕는 것이 대책의 핵심이 돼야 한다는 의견이다. 

이동일 dilee@chuksannews.co.kr
당사의 허락없이 본 기사와 사진의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주소 :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부순환로 1962. 6층 (우편번호:08793)
대표전화 : 02) 871-9561 /E-mail : jhleeadt@hanmail.net
Copyright ⓒ 2007 축산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