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김길호 기자]
경기도가 본격적인 영농철을 앞두고 가축분뇨 퇴비 집중 살포 기간(봄 3~4월, 가을 10~11월)을 운영하며, 냄새로 인한 도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관리·계도 활동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가축분뇨 퇴비는 가축 분뇨가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면서 냄새가 줄어든 양질의 퇴비로 변환된 것을 뜻한다. 이는 온실가스 배출을 감소시키고, 화학비료 사용을 줄이며, 토양 환경 개선을 통해 생산성 향상에도 기여하는 친환경 농자재다. 그러나 퇴비 살포 직후 발생하는 냄새가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이에 경기도는 ▲생산관리 ▲살포관리 ▲사후관리 등 전 과정에서 냄새 저감을 위한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먼저, 생산관리 차원에서 축산농가에 퇴비 생산을 위한 냄새 저감 장비를 지원하고, 축산환경 매니저를 활용한 품질·냄새 관리 교육을 매년 실시하고 있다. 또한, 살포관리에서는 퇴비 부숙도 기준 준수 및 퇴비 유통 전문 조직 육성을 통해 살포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예방하고 있다. 사후관리 단계에서는 퇴비 살포 후 농지를 경운(갈아엎기)해 냄새를 줄이고 퇴비 유실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지난해 경기도에서는 1만2천톤의 퇴비가 1천40ha의 농지에 살포됐으며, 2025년에는 2천ha까지 확대될 예정이다. 또한, 관련 민원이 2023년 대비 2024년에 18% 감소하는 성과도 거뒀다.
경기도 축산정책과 신종광 과장은 “충분히 부숙된 가축분뇨 퇴비는 냄새가 크지 않지만, 완전히 제거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라며 “살포 기간 동안 철저한 관리로 냄새로 인한 도민 불편을 최소화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