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김영길 기자]
농림축산검역본부(본부장 김정희)는 지난 3월 20일 김천 검역본부에서 ‘돼지질병 분야별협의체’를 열고, 현안 돼지질병 해결방안 등을 논의했다.
협의체에는 검역본부와 민관산학 전문가 18명이 참여했다.
이날 김원일 전북대 수의과대학 교수는 “우리나라에서도 고병원성 PRRS가 활개치고 있다. 임신 모돈에서 높은 폐사, 유산률 그리고 수직감염에 따른 자돈 폐사 등을 유발한다”며 다양한 형태의 맞춤형 백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산업체에서는 “변이주 출현 등에 따라 PRRS 백신 효과가 감소하고 있다. 백신 플랫폼 구축, 백신 개발·승인절차 간소화 등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학계 전문가들은 “플랫폼 백신이 농장 맞춤형으로 적용, PRRS 변이에 능동대응할 수 있다. 질병 유형별 백신 평가 기준을 명확히 설정하고, 현장 적용성을 높일 수 있는 데이터 수집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전문가들은 “PRRS, PED, 돼지인플루엔자 방역에는 모니터링 검사가 필수적이나 농가들이 신고를 기피하고 있다. 신고 의무 질병 수준으로 전환해 관리해야 한다”고 의견을 제시했다.
아울러 “돼지전문 수의사의 정확한 진단에 근거해 백신을 처방해야 한다.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함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신속한 대응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강동윤 검역본부 동식물위생연구부장은 “협력을 통해 실질적인 돼지질병 대응 기술 개발과 정책 개선이 협의체 주된 목적이다. 제안된 의견을 연구에 적극 반영할 것이다”고 밝혔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