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산업이 살아야 대한민국 축산도 산다

  • 등록 2025.03.26 14:01:59
크게보기

[축산신문]

 

양 창 범 전문위원(한국농업개발원)

 

한반도에서 오랫동안 우리 민족과 역사를 함께 하여온 한우는 축산업의 상징이고 자존심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한우산업의 현실은 사면초가(四面楚歌)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어려운 것이 전문가와 현장의 목소리이다. 따라서 본 글에서는 짧게나마 한우산업의 현실을 살펴보고 미래를 생각하는 의미에서 몇 가지 의견을 제시하고자 한다.
우선 한우 사육농가의 변화를 살펴보면, 17만여 농가(2010년)에서 7만 8천여 농가(2024년 말 기준)로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 그 주요 원인으로는 고령화·도시화 등 시대적인 변화와 사육두수의 증가, 경기 불황 등으로 한우고기 소비급감과 생산비 부담 등으로 폐업을 선택하는 농가가 많아졌기 때문이다. 특히 한우를 키우면 손해를 보는 즉 한우(비육우) 한 마리를 팔면 약 143만원 적자(‘24년, 통계청)를 보는 것으로 나타났고, 최근에는 적자 폭이 더 클 것으로 추정이 된다. 이런 어려움이 지속된다면 한우농가가 의욕을 갖고 한우 사육을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할 수 있을지가 의문이 든다.
하지만 한우산업의 반드시 지속되어야 하고 더욱 강건하게 유지되어야 할 것이다. 그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첫째로는 우리나라 축산업의 자존심을 떠나서 식량안보 차원에서 한우는 매우 중요한 축종이다. 국내산 소고기 자급률은 최근에 41.1%(한우고기는 38.5% 점유, 24년 기준)이나, 언제든지 30%대로 떨어질 수도 있다. 다른 측면에서는 자급률 문제보다 더 큰 문제는 소고기 수출국의 생산 및 수출 환경의 변화이다. 기후변화 등으로 곡물과 가축 생산의 변동성, 가축질병 발생과 자국민 보호 정책 등으로 수입 물량과 수입 가격에 대한 커다란 불안정성이다. 즉 소고기를 수입하여 먹으려 해도 먹을 수 없는 여건이 올 수도 있다. 좋은 사례가 최근 미국의 달걀값 폭등이다. 조류 인플루엔자(HPAI) 확산 등으로 달걀 1개 가격이 1천800원(1.25달러)까지 폭등하였고, 농무부 장관은 ‘뒷마당에서 직접 닭을 키워라’라는 어이없는 제안까지 내놨다. 또한 미국의 소 사육두수도 25년 만에 최저치로 소고기 가격도 5.5%가 인상될 전망이라는 보도가 있다. 따라서 과거처럼 국내 달걀 가격이 급등할 경우 수입을 하려 해도 수입이 어렵고, 소고기 역시 그럴 수 있다. 둘째로 한우산업을 강건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한우 생산비 절감 노력이 중요하다. 소비자와 함께 가려면 좋은 품질과 적정한 가격의 소고기 공급이 핵심이다. 요즘 한우 사육기간 단축 효과에 대한 찬반양론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으나, 여러 가지 여건을 고려하여 농가에서는 합리적인 선택을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유관기관에서도 관련 정책 개선과 기술정보 제공 등 농가를 위한 노력이 더 필요하다. 더불어 소고기의 소비 트렌드 변화에 대한 고민과 미래전략도 잘 수립해야 할 것이다. 비록 사육기간 단축이 기존의 사육방법(장기비육)에 비하여 소고기 맛이 덜 깊다는 의견 등의 우려를 무시해서도 안 되지만, 생산과 소비 측면에서 간과할 수 없는 요소 중의 하나가 향후 MZ세대들이 지금처럼 마블링 위주의 한우고기를 더 많이 선택할 것인지이며 이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셋째로 정부와 농가의 협심과 다양한 노력이다. 한우 수급조절 문제, 번식기반 강화, 소 근출혈(筋出血) 피해 보상(보험), TMR(자가배합) 사료 보급과 지원, 숙성육(熟成肉) 시장 확대 등 한우농가의 경영 안정화와 소비 확대를 위해 필요한 정책 개발과 기술보급, 농가의 능동적인 참여가 다각적이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한우산업은 꼭 지켜내어야 하고 꼭 지켜 낼 수 있다고 생각한다. “궁하면 통하고, 통하면 오래간다(窮卽變 變卽通 通卽久)”라는 말이 있다. 즉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치열하게 노력하면 반드시 답을 찾을 것이라는 희망의 메시지라고 생각한다. 한우산업은 축산의 뿌리요, 농촌의 희망임을 명심하고 한우산업을 유지·발전시키는데 관련 기관과 단체, 농가의 부단한 노력과 협력이 요구된다. 진정으로 한우산업이 살아야 축산이 살고, 축산이 살아야 국민의 먹거리(식량)도 안정화될 것이다.

 

축산신문, CHUKSANNEWS


당사의 허락없이 본 기사와 사진의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주소 :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부순환로 1962. 6층 (우편번호:08793)
대표전화 : 02) 871-9561 /E-mail : jhleeadt@hanmail.net
Copyright ⓒ 2007 축산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