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서동휘 기자]
산란계·오리 사육수수 증가, 한육우·젖소·돼지·육계는 감소
통계청이 지난 1월 21일 2024년 4/4분기 가축동향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이번 분기 가축 사육마릿수는 전년동기대비 산란계·오리는 증가한 반면, 한육우·젖소·돼지·육계는 마릿수가 감소하는 흐름을 보였다. 통계청의 가축동향 조사 결과를 정리했다.
- 한·육우
한·육우 사육두수는 347만4천두로 전년동기대비 17만4천두(4.8%), 전분기대비 10만6천두(3.0%)가 각각 감소했다. 2세 이상 수컷 사육두수는 증가했지만, 지난 2023년 이후 번식용 암소가 감소추세라 1~2세미만, 1세 미만의 사육두수가 각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젖소
젖소의 사육두수는 38만1천두로 전년동기대비 5천600두(1.4%)감소, 전분기대비는 1천200두(0.3%)가 증가했다. 이중 2세 이상 사육두수는 증가했지만, 경산우 도축 증가로 1~2세 미만, 1세 미만의 사육두수는 각각 감소했다.
- 돼지
돼지는 사육두수가 1천84만6천두였다. 이는 전년동기대비 24만3천두(2.2%), 전분기대비는 33만6천두(3.0%)가 각각 감소한 수치다. 이는 모돈 감소로 2∼4개월, 4∼6개월 연령의 사육두수가 감소한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 산란계
산란계 사육수수는 전체 7천900만3천수로 전년동기대비 180만1천수(2.3%)증가, 전분기대비는 154만1천수(1.9%)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 결과 3개월 미만과 3~6개월 미만의 사육수수는 각각 감소했지만, 지난 2024년 상반기 병아리 입식이 증가해 6개월령 이상의 사육수수가 증가한 것이 특징이다.
- 육계
육계 사육수수는 8천897만5천수로 전년동기대비 514만수(5.5%)가 감소했다. 하지만 전분기대비는 323만8천수(3.8%)가 증가한 수치다. 삼계 사육수수가 증가했지만, 소비부진으로 인한 육계 생계 가격이 크게 하락해 병아리 입식수수가 감소한 결과다.
- 오리
오리 사육수수는 715만8천수로 전년동기대비 61만9천수(9.5%)증가, 전분기대비는 208만4천수(22.5%)가 감소했다. 동절기 오리 사육제한으로 인한 농가 수 감소와 종오리 입식 물량 증가로 육용오리 입식수수 증가가 주요인으로 풀이된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