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이일호 기자]
PED와 PRRS 등 돼지소모성 질병은 물론 ASF까지 지속적인 확산 추세를 보이면서 차량을 통한 오염원 전파 차단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 보다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양돈현장에서는 개별소독시설 설치를 뒷받침할 정부 차원의 대책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거점소독시설에 대한 불신이 심화, 별도의 개별 소독시설을 갖추려는 양돈농가들이 점차 늘고 있지만 관할 지자체의 반대에 부딪히며 포기하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기 때문이다.
경기도의 한 양돈농가는 “농장 주변에 세차는 물론 열 건조 시스템까지 갖춘 개별 소독시설을 적극 추진해 왔다”며 “하지만 ‘오염 시설’이라는 지자체의 시각이 강하다 보니 부지 확보 조차 어려운 게 현실이다. 방역상 꼭 필요한 시설임을 감안, 정부 차원의 제도적 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일각에서는 방역시설도 축사의 일부분임을 고려, 농지에 개별 소독시설 설치가 가능토록 하는 방안도 설득력을 얻고 있다.
수의 전문가들도 전반적으로 공감하고 있는 분위기다.
한 현장 수의사는 “거점소독시설은 ‘집합시설’이라는 태생적 한계를 안고 있다. 제대로 소독이 이뤄진 차량이라도 오히려 거점소독시설을 거치며 또 다른 위험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건 누구나 인정하고 있는 사실”이라며 “굳이 차량 소독 여부를 확인할 행정 절차가 필요하다면 개별소독시설을 통해 거점소독시설을 보완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밝혔다.
단순히 보완 수준을 넘어 거점소독시설을 대체하는 수단으로 개별 소독시설을 활용하는 방안도 제시되고 있다.
정부가 제시하는 일정 기준을 충족하는 개별 소독시설에 대해서는 거점소독시설과 동일한 역할을 부여하자는 것이다. 마침 정부도 축산 차량에 대한 방역관리 강화 대책을 고민하고 있는 만큼 이러한 현장의 목소리가 수용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축산신문, CHUKSANNEWS